미 토마호크 본뜬 저고도 미사일..군 당국 '발사 탐지' 못한 듯
[경향신문]
북한 시험발사 미사일은
낮게 비행해 레이더 회피춰
원거리 목표물 정밀 타격
TEL 활용 기습 능력 갖
북한이 13일 시험발사에 성공했다고 밝힌 신형 장거리 순항미사일은 남한의 현무-3C, 미국의 토마호크와 유사한 무기체계다. 순항미사일은 지상 이동식 발사차량(TEL)이나 해상 함정 등에서 발사돼 50~100m 고도로 날아 원거리에 있는 목표물을 정밀 타격한다.
북한 매체가 이날 공개한 사진을 분석한 결과 장거리 순항미사일은 5개의 발사관을 갖춘 지상의 TEL에서 발사가 이뤄졌다. 북한은 이 미사일이 1500㎞ 표적을 명중했다고 주장했으나 목표물 타격 장면은 공개하지 않았다. 또 주날개와 꼬리 부분 보조날개, 터보팬 엔진(북한식 표현은 ‘터빈송풍식 발동기’), 동체 배면에 엔진 흡입구 등을 갖췄다. 미국 토마호크 순항미사일에도 배면 흡입구가 있어 북한이 토마호크 기술을 상당히 모방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순항미사일은 제트엔진을 이용해 저고도로 비행하는 특성을 갖고 있다. 로켓 추진력으로 포물선 궤도를 그리며 날아가는 탄도미사일에 비해 속도가 느리다. 그러나 탐지 및 요격 레이더에 포착될 가능성이 작아 요격하기 쉽지 않고 정밀 타격이 용이하다. 재빨리 이동하고 터널이나 지하 개폐 시설에 있다가 나와 발사하고 숨을 수 있는 특성을 갖춘 TEL에서 발사하면 기습 타격 능력이 배가된다.
합동참모본부는 이날 “우리 군은 한·미 정보당국 간 긴밀한 공조하에 정밀 분석 중”이라고 밝혔다. 지난해 4월14일 북한의 단거리 순항미사일 발사 당시에는 당일 즉각 상세한 내용을 발표했던 군 당국이 이번에는 공개하지 않아 미사일 발사의 사전 탐지에 실패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북한이 장거리 순항미사일을 개발함에 따라 종말 단계에서 회피 기동이 가능한 ‘북한판 이스칸데르’(단거리 탄도미사일)에 이어 한국군의 미사일방어체계(KAMD)를 무력화할 수 있는 또 다른 무기체계라는 분석도 제기된다.
박원곤 이화여대 북한학과 교수는 “북한이 발표한 ‘미사일의 비행조종성, 복합유도결합 방식에 의한 말기유도명중 정확성’ 등은 탄도미사일에도 적용 가능하다. 북한이 핵탄두를 충분히 소형화했다면 순항미사일에도 적용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박은경 기자 yama@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문 대통령, 21일 유엔총회 연설…한반도 평화 호소할 듯
- ‘북한 대화 유도’ 난제 놓고 한·미·일 이어 한·중 협의
- 한·미·일 협의 앞두고…북, 장거리 순항미사일 시험발사
- [속보] 트럼프 “이스라엘·이란, 완전한 휴전 합의···‘12일간의 전쟁’ 끝났다”
- [속보]이란 고위당국자 “이란, 이스라엘과의 휴전에 동의”
- 부모 일 나간 사이···아파트 화재에 11살 언니 숨지고 7살 동생 중태
- [지방자치 30년]이렇게 똑똑한 정책들, 지방에서 시작했습니다
- 폐교된 서남대, 전북대 ‘글로컬 캠퍼스’ 된다···모처럼 활기 도는 ‘대학도시 남원’
- [지방자치 30년]동네 경비원 처우 개선, 고려인 교육 지원…주민이 해냈다
- 조선 왕실 사당 ‘관월당’, 일본 반출 100년 만에 돌아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