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줌인]확산세 빨라지는 의료 분야 메타버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메타버스가 교육에 이어 콘텐츠, 제조, 공공 등 모든 분야로 확산하며 도입 작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의료 현장에서는 교육 분야부터 메타버스 접목이 이뤄지기 시작했다.
분당서울대병원과 서울대 의대는 조만간 싱가포르국립의대, 싱가포르국립대병원과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의대생과 의료진 교육에 메타버스를 활용하는 데 공조하기로 했다.
메타버스는 의료 교육 외에도 진료, 환자 안전, 고객 만족 등 분야에서 발생하는 병원 내 각종 문제를 개선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메타버스가 교육에 이어 콘텐츠, 제조, 공공 등 모든 분야로 확산하며 도입 작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교육 목적을 시작으로 메타버스 활용 범위를 넓히고 있다. 도입이 확대되면 의료 현장의 한계 극복과 의료 격차 해소에도 일익을 담당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이 주도하는 '헬스케어 확장현실(XR) 글로벌 연구회'가 설립된 데 이어 세계 각국의 병원과 글로벌 기업이 참여하는 얼라이언스(협의체)도 발족될 예정이다. 높은 의료 수준과 우수한 기술력을 보유한 우리나라의 역할이 커질 것으로 보인다. 의료 현장에서는 교육 분야부터 메타버스 접목이 이뤄지기 시작했다. 환자 권익 향상과 코로나19 이후 감염 우려로 제한되는 실습 기회를 메타버스 교육으로 보완할 수 있다.
분당서울대병원은 지난 5월 아시아심장혈관흉부외과학회(ASCVTS) 온라인 학술대회에서 각국의 흉부외과 의료진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가상 강의실에서 수술 기법을 강의하는 메타버스 수술실을 선보였다. 서울대 의대는 국내 의대 가운데 처음으로 커리큘럼에 메타버스 개념을 접목한 실습 교육을 도입했다. 분당서울대병원과 서울아산병원은 가상현실(VR)을 활용한 심폐소생술교육도 하고 있다.
최근 출범한 헬스케어 XR 글로벌 연구회도 메타버스를 활용한 효율적인 교육 제공 방안을 마련할 것으로 기대한다. 분당서울대병원과 서울대 의대는 조만간 싱가포르국립의대, 싱가포르국립대병원과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의대생과 의료진 교육에 메타버스를 활용하는 데 공조하기로 했다.
메타버스는 의료 교육 외에도 진료, 환자 안전, 고객 만족 등 분야에서 발생하는 병원 내 각종 문제를 개선할 것으로 전망된다. 환자를 대체할 수 있는 디지털 트윈을 구현해 수술 시뮬레이션, 임상 등을 진행할 수 있다. 디지털치료제(DTx) 기술과 접목하면 집에서도 가상 환경을 통한 심리 치료나 재활 등이 가능하다. 세계 유수 병원과 기업이 참여하는 협의체가 구성되면 관련 기술 개발과 확산 속도가 더욱 빨라진다. 개발 초기 단계부터 각국의 의료 전문가가 참여하면 의료 현장에 실제 접목이 가능한 메타버스 응용 기회를 마련할 수 있다.
전상훈 분당서울대병원 흉부외과 교수는 13일 “개별 연구자나 기업이 신기술을 개발하는 데 그치지 않고 연합체를 통해 관련 기술을 통합하고 가치를 키우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메타버스를 통해 국경에 구애받지 않고 교육과 진료가 이뤄질 수 있어 세계 의료 격차 해소에도 많은 역할을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상준 메디컬아이피 대표는 13일 “다양한 환자 데이터를 디지털화해 메타버스 내에 가상의 '메디컬 트윈'(의료 분야 디지털트윈)을 생성하면 약물 치료 효과를 확인하거나 수술 전 시뮬레이션을 할 수 있다”고 말했다. 박 대표는 “흩어져있던 데이터와 요소 기술이 메타버스를 통해 통합되고 시너지를 내 전 의료 분야에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고 예상했다.
정현정기자 iam@etnews.com
Copyright©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전기차 보조금 남아돈다...서울, 보급률 전국 최하위
- [뉴스해설] 美 인터넷 공정기여법 발의…빅테크 '사회적 책임' 부과 논의 촉발
- 탑엔지니어링 '마이크로 LED 수율 개선' 검사 장비 개발
- 공정위, 카카오 김범수 제재 착수…가족회사 신고 누락 조사
- ISMS 취득 가상자산 사업자 40개 명단 공개…나머지는 사실상 폐업 확정
- 민주당 결선 최대 분수령…추석 앞두고 '호남표심 올인'
- 라인업 확대·아이디어 발굴…LG, 로봇 사업 가속화
- “비방사선 시설은 영구정지 후 1년 안에 해체”...국회, 원안법 개정안 발의 추진
- 2025년 노후산단 520개...산단공, 경쟁력 강화 전략 찾는다
- 플랫폼 규제에 100여 스타트업 투자도 '찬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