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산층 살 수 있는 서울 아파트 5.5만채..1년 만에 4분의 1 토막

입력 2021. 9. 13. 11:28 수정 2021. 9. 13. 16:4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文정부 4년 새 서울 아파트 6.1억→11.8억
중위소득 구매 가능 아파트 전체의 3.9%
집값 상승률, 소득 증가율보다 월등히 높아
내집마련 소요시간 18년6개월로 크게 늘어

6억708만원 vs 11억7734만원.

서울의 평균 아파트값은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4년여 새 두 배 가까이 올랐다. 가구당 월평균 소득이 372만원에서 429만원으로 15.4% 늘어날 때 집값은 무려 93.9% 상승했다. 주머니 사정은 크게 나아지지 않았는데 주거비 부담만 무거워진 셈이다. 심지어 올해 2분기에는 월평균 소득이 전년 동기 대비 0.7% 감소했지만 같은 기간 집값은 가장 두드러진 오름세를 보였다.

평범한 회사원은 엄두를 낼 수 없을 만큼 집값이 뛰다 보니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은 대출)’은 일상이 됐고 영끌로도 집값을 감당하지 못해 내 집 마련을 포기하는 이들이 늘었다. 서민층은 물론 중위 소득의 중산층이 살 수 있는 주택 물량이 급격히 쪼그라든 탓이다.

실제 중위 소득 가구가 대출받아 구입할 수 있는 서울 아파트 재고량은 5만5000채에 불과한 것으로 확인됐다. 전체의 4%도 채 안 되는 수준이다. 1년 전과 비교해 4분의 1 토막났다. 내 집 마련은 중산층에도 이룰 수 없는 꿈이 돼가는 분위기다.

13일 KB국민은행에 따르면 올해 2분기 서울의 주택구입잠재력지수(KB-HOI)는 3.9로 지난 1분기(5.6)보다 1.7포인트 하락했다. 관련 통계를 작성한 2009년 3분기 이후 역대 최저치다.

이 지수는 중위 소득의 가구가 예금은행 가중평균 주택담보대출금리로 집값의 70%를 빌려 20년 만기 원리금 상환 방식으로 월 소득의 33%를 대출 상환에 쓴다고 가정할 때 구입 가능한 지역 내 아파트 재고량을 나타낸다. 중산층 가구가 자신의 경제능력으로 살 수 있는 서울의 아파트가 전체 재고량의 3.9%라는 얘기다. KB국민은행 시세 조사 아파트 140만채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다.

문재인 정부가 출범한 2017년 2분기에는 서울 주택구입잠재력지수가 22.8이었다. 서울 아파트 5채 중 1채는 중산층이 매수할 수 있었다는 의미다. 그러나 중산층의 주택구입능력은 점차 악화됐고 지난해부터는 현저히 떨어지기 시작했다. 작년 2분기 15.1이었던 이 지수는 3분기 10.4로 하락했고 4분기(7.3) 처음으로 한 자릿수로 내려앉은 뒤 내림세를 이어가고 있다.

중산층이 구입 가능한 서울 아파트 재고량은 지난 2분기 5만5319채로 직전 분기(7만8614채)보다 약 2만3000채 줄었다. 지난해 2분기(21만311채)보다 73.7% 감소한 수치다. 2017년 2분기(30만7629채)와 비교하면 6분의 1 수준이다.

이는 주택 공급이 충분히 뒷받침되지 않는 상황에서 집값 상승률이 소득 증가율을 훨씬 앞지르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소득이 연평균 4.0%씩 증가할 때 집값은 평균적으로 매해 10.6% 올랐다.

특히 지난 1년간은 코로나19 등의 여파로 가구별 월소득은 약보합세를 보인 영향이 크다. 연간 지출 가능한 주거비용이 감소한 상황에 최근 대출금리까지 오르면서 구입 가능한 주택가격이 하락한 것이다. 중위소득 가구의 구입 가능한 주택가격은 올해 2분기 기준 4억3820만원 수준으로 지난해 2분기(4억6394만원)보다 2574만원 낮다.

내 집을 마련하기 위해 필요한 시간도 길어졌다. 올해 6월 기준 서울의 소득 대비 주택가격 비율(PIR)은 KB국민은행 집계 기준 18.5로 확인됐다. 3분위 가구(소득 상위 40~60%)가 소득을 한 푼도 쓰지 않고 18년6개월을 모아야 중간 가격대의 서울 아파트를 살 수 있다는 의미다. 2017년 5월 10년11개월에서 4년 새 7년7개월 늘었다. 불과 1년 전(14.1)과 비교해도 4년 이상 길어졌다.

서진형 대한부동산학회장(경인여대 교수)은 “소득수준에 비해 부동산 가치가 급격히 상승하면서 주거비 부담이 가중됐고 그로 인해 많은 이들이 내 집 마련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주택가격은 1988년, 2000년에도 급등했지만 당시에는 누구나 주거 사다리를 탈 수 있었다면 지금은 사다리가 사실상 끊어진 상황”이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급격한 집값 상승이 부의 양극화를 심화시켜 사회적 위화감·박탈감 조성, 노동가치의 상실 등의 사회문제를 불러오는 것은 물론 국가 발전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중산층까지 위협받는 지금의 상황은 나라 경제의 근간이 흔들릴 수 있는 문제라고 했다.

김덕례 주택산업연구원 주택정책연구실장은 “집값이 많이 오르면 개인의 구매력이 낮아질 수밖에 없고 더 나은 집으로의 주거 이동이 어려워진다”면서 “집값은 삶의 질과 직결되기 때문에 적정 수준을 유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실제 글로벌 통계 사이트 ‘넘베오’를 보면 PIR과 삶의 질 지표는 역상관관계를 보인다. 소득 대비 집값이 높은 나라일수록 삶의 질이 떨어진다는 것이다.

결국 집값 안정화가 중요하다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았다. 주택 공급을 충분히 늘려 수급 불균형을 해소하되 정책 신뢰도를 회복해 심리적 불안 요인을 제거해야 한다고 봤다. 주거 사다리를 복원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다. 특히 최근 정부의 가계대출 옥죄기와 관련해 실수요자에게 피해가 돌아가선 안 된다는 지적이다.

김덕례 실장은 “집이라는 고가의 재화를 대출 없이 살 수 있는 사람이 얼마나 있겠냐”면서 “자금이 필요한 사람에게 금융을 공급하지 않는 것은 경제활동을 하지 말라는 것과 마찬가지 의미이므로 실수요자를 위한 지원은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했다. 김은희 기자

ehkim@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