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철·통닭집 간판 글씨도 하나의 역사"

채민기 기자 2021. 9. 13. 03:01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글자 속의 우주' 펴낸 서체 디자이너 한동훈 인터뷰
"글자가 모여 이루어진 도시는 시대상 변화 보여주는 박물관"
‘글자 속의 우주’를 펴낸 서체 디자이너 한동훈. 무심히 지나치기 쉬운 글씨들을 꼼꼼하게 관찰하고 해석한 기록이다. /김지호 기자

지하철 1호선 서울역 3번 출구로 들어온 사람들이 ‘차타는곳’ 표지판을 보며 승강장까지 거리를 가늠할 때 서체 디자이너 한동훈(30)은 한글 표기 습관의 변천사를 생각했을 것이다. 이 자리에 얼마 전까지도 있었던 ‘차타는곳’은 1974년 1호선 개통 당시 설치된 것이었다. 지난주 만난 한동훈에 따르면 이 표지판의 ㅌ은 가운데 가로획이 살짝 위로 치우쳐 있어서 위쪽 공간이 아래쪽보다 좁은데, 이는 ㄷ 위에 가로획 하나를 더해 ㅌ을 만들던 예전 손글씨 습관이 반영된 것이라고 한다.

글자에는 이런 미세한 이야기들이 얽혀 있다. 그 이야기들을 모아 한동훈은 최근 ‘글자 속의 우주’(호밀밭)를 펴냈다. 글자를 만날 때마다 사진을 찍고 글을 쓰고 따라 그려보기도 했던 디자이너의 직업병적 기록이다. 한동훈은 “서체 디자이너에게 글자로 가득한 도시는 살아있는 박물관”이라고 했다.

살아있다는 것은 변한다는 것이다. 새로운 글자가 등장하고 오래된 글자는 사라진다. 한동훈은 “글자 하나하나가 디자인과 언어의 역사를 보여 주는 문화유산인데 자꾸 사라져서 아쉽다”고 했다. 서울역의 표지판은 현재 깔끔한 ‘서울남산체’로 교체된 상태다. 비슷한 시기의 표지판이 서울 도심권 1호선 역사(驛舍)에 꽤 남아 있었으나 지금은 거의 사라졌다고 한다.

서울역에 남아 있던 지하철 1호선 개통 당시의 '차타는곳' 표지판. /한동훈 제공

많은 사람에게 글자는 의미로 해독될 뿐 형태로 인식되지 않는다. 일단 그 조형에 눈뜨면 세상은 거대한 타이포그래피(글자체나 글자 배치 등을 구성·표현하는 시각디자인의 분야)가 된다. 예컨대 아파트. 한동훈은 책에서 은마아파트를 비롯한 강남 유명 아파트 외벽에 ‘銀馬 Eunma Town 16’처럼 한자와 영문, 숫자가 뒤섞여 있음에 주목한다. “이런 변종이 탄생한 이유는 한자를 쓰던 고리타분한 땅에서 자라난 사람들이 당대의 ‘힙스러움’까지 좇았기 때문이다.”

국민대에서 시각디자인을 전공한 한동훈은 대학 시절 사당역 헌책방에서 한글 활자 연구가 고(故) 김진평의 ‘한글의 글자 표현’을 접하면서 서체에 관심을 갖게 됐다. “크게 확대한 명조체와 고딕체 활자가 수십 페이지씩 계속되는데 그 선(線)이 묘하게 감동적이었다”고 했다. 그때부터 본격적으로 문자의 매력에 빠졌다. 그는 “한글뿐 아니라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글자를 좋아한다”고 했다.

한동훈은 통닭집 간판, 카메라 셔터 다이얼, 음악만큼 새로웠던 유재하 ‘사랑하기 때문에’ 앨범 커버, 1987년 민주화 이후 대선 포스터까지 촘촘하게 넘나들었다. 의식하지 못할 뿐 빛처럼 공기처럼 어디에나 글자가 있다. 글자는 세상을 보는 렌즈인 동시에 세상 그 자체이기도 하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