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종빈칼럼] 대선 정치개혁 공약, 이렇게 만들자
승자독식·이분법적 싸움 지양
선거제 개선·국민소환제 도입 등
대선 후보들 정치개혁 앞장서야
대선 후보 경선이 치열하게 진행되는 가운데 후보들의 정치개혁 공약이 중구난방으로 제시되고 있다. 부동산과 일자리 공약만큼 주목을 못 받지만 선거가 임박해질수록 중요하게 다뤄야 하는, 일반인의 삶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는 부문이 정치개혁이다. 4차 산업혁명의 디지털 시대를 맞아 우리의 일상이 급격하게 변하고 있지만 유독 정치영역만이 변화와 개혁에 적응하지 못하고 있다.
대통령을 중심으로 아군과 적군이 갈린 우리 국회는 입법부로서의 권위가 실추됐고 국민의 신뢰를 잃은 지 오래됐다. 국회선진화법의 도입으로 몸싸움이 사라지고 국회운영이 달라질 것을 기대했지만 여전히 국민 눈높이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일부 국회의원은 차기 선거를 위해 예산낭비를 알면서도 선심성 지역구사업을 멈추지 않고 있다. 엄청난 예산이 낭비되는 잘못된 사업이지만 실패에 대해 아무도 책임지지 않는다. 국민소환제는 이러한 의원의 무책임한 행위를 통제하기 위해 시급히 필요하다. 대통령은 물론 지방자치단체장과 지방의원은 임기 중 소환돼 파면될 수 있지만 국회의원만은 예외라는 것이 의아하다. 이미 17대 국회부터 국민소환제 입법은 발의되고 자동폐기되기를 반복해 왔다. 의원들의 의지가 없다는 것이 확인된 것이다. 이제는 대선 후보들이 입법부의 책임성과 신뢰를 높이기 위해 국민소환제 도입을 서둘러야 한다.
대선 후보의 지나친 포퓰리즘 공약은 비판받아야 한다. 대선 단골메뉴로 등장하는 것으로 국회의원 수를 무작정 100명 줄이자는 주장은 입법부의 존재와 대의제 민주주의를 인정하지 않는 것이다. 비록 국회가 비난받고 있지만 없앨 수는 없기에 애정을 갖고 발전시켜야 우리의 민주주의도 동반 성숙할 수 있을 것이다. 사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미국과 일본을 제외하고는 우리의 의원 수가 결코 많은 것이 아니다. 현대사회에서 날로 비대해지는 행정부의 역할과 권한남용으로부터 국민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입법부의 견제와 감시 역할이 너무나도 중요하다.
선거제도는 승자독식과 이분법적 진영싸움을 막기 위해 반드시 개선돼야 한다. 작년 총선에서 준연동형 비례제가 도입됐지만 비례대표의석이 47석 그대로였고 그중 30석만 연동제를 적용했으며 설상가상으로 당시 더불어민주당과 미래통합당은 연동제에 역행하는 위성비례정당을 만들었다. 유권자의 투표 수에 비례해 의석을 배분해 대표성을 높이는 독일식 연동형 비례제가 누더기가 돼 버린 것이다. 특히 거대 양당의 대선 후보들은 기득권 지키기에 급급하지 말고 연동형 비례제의 정상화를 공약해야 한다. 대선 후보들은 지금이라도 정교한 정치개혁 공약 만들기에 적극 나서야 한다.
윤종빈 명지대 교수 정치학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55세에 손녀 같은 막내딸까지 얻었는데…이혼설 터진 신현준, 진실은?
- “운동 다녀올게” 집 나선 40대女 참변…30대男 “너무 힘들어서”
- ‘78세’ 김용건, 붕어빵 늦둥이 아들 공개? “역시 피는 못 속여”
- “돈독 올랐다” 욕먹은 장윤정, ‘진짜 돈독’ 오른 사정 있었다
- “내 콩팥 떼어주면 돼” 언니에게 선뜻 신장 내어준 동생
- “개보다 못해” 아내에 피살된 유명 강사…백종원 피고발 [금주의 사건사고]
- 누군지 맞히셨어요?…아기 때 얼굴 전혀 없다는 유명 방송인
- “이제 10억으론 어림도 없어요”
- “한국인 45만명 사라졌다”…무슨 일이?
- "남자한테 참 안 좋은데~"… 우리도 모르게 섭취하고 있는 '이것' [수민이가 궁금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