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평가된 주택가격 안정세 전환 2∼3년뒤 공급확대 뒤에야 가능"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최근 급등한 집값의 안정세 전환은 실공급이 확대되는 2∼3년 후에야 가능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윤 연구원은 "최근 주택가격의 상승요인으로는 주택공급 물량의 부족이 주요 기제 중 하나"라며 "고평가된 주택가격은 2∼3년 후 주택공급이 본격적으로 이뤄지는 시점에야 조정될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정비사업 억제로 공급 줄어
기회비용 연간 5000억원 낭비
12일 한국개발연구원(KDI)에 따르면 윤지해 부동산114 수석연구원은 지난 9일 비대면으로 열린 KDI 부동산 포럼에서 ‘주택시장의 진단과 전망’ 주제발표를 통해 이같이 분석했다.
윤 연구원은 “최근 주택가격의 상승요인으로는 주택공급 물량의 부족이 주요 기제 중 하나”라며 “고평가된 주택가격은 2∼3년 후 주택공급이 본격적으로 이뤄지는 시점에야 조정될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했다.
윤 연구원은 이어 “1주택자의 매도 애로, 2주택자의 취득세 중과, 다주택자의 증여 전환 등 이슈로 기존 주택공급 물량이 감소하는 가운데 신규 공급 물량은 2∼3년 후에야 본격적으로 확대될 전망”이라고 내다봤다.
이날 포럼에서는 서울 정비사업 억제로 도심 주택공급이 줄어들면서 발생하는 기회비용이 연간 5000억원에 달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이창무 한양대 교수는 ‘서울 도심 내 주택공급 방안’ 주제발표에서 “2014년 전후로 서울시 재건축·재개발 등 393개 구역 정비사업이 해제되면서 26만호의 아파트 공급 가능 물량이 축소됐다”고 주장했다.
이어 “정비사업 신규 공급에 따른 주택 순증 효과를 50%로 보아 12만5000가구가 서울이 아닌 외곽 택지개발지구에 수용됐다고 가정하고, 해당 가구가 서울에 입주했더라면 누릴 수 있었던 통근 시간의 기회비용을 산정한 결과 연간 5000억원으로 집계됐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해제된 재개발구역의 정비사업 진행 가능성을 다시 진단할 필요가 있으며, 공공 주도 정비사업도 필요하지만 기본적으로는 민간 주도의 정비사업이 원활히 진행될 수 있도록 관련 제도를 운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세종=안용성 기자 ysahn@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축의금은 10만원이지만…부의금은 “5만원이 적당”
- 빠짐없이 교회 나가던 아내, 교회男과 불륜
- 9초 동영상이 이재명 운명 바꿨다…“김문기와 골프사진? 조작됐다” vs “오늘 시장님과 골프
- 입 벌리고 쓰러진 82살 박지원…한 손으로 1m 담 넘은 이재명
- 회식 후 속옷 없이 온 남편 “배변 실수”→상간녀 딸에 알렸더니 “정신적 피해” 고소
- 일가족 9명 데리고 탈북했던 김이혁씨, 귀순 1년 만에 사고로 숨져
- “걔는 잤는데 좀 싱겁고”…정우성, ’오픈마인드‘ 추구한 과거 인터뷰
- 한국 여학생 평균 성 경험 연령 16세, 중고 여학생 9562명은 피임도 없이 성관계
- 사랑 나눈 후 바로 이불 빨래…여친 결벽증 때문에 고민이라는 남성의 사연
- "오피스 남편이 어때서"…男동료와 술·영화 즐긴 아내 '당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