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깡통전세' 무서워 보증보험 가입 50% 급증.. 벌써 34조 돌파

성초롱 2021. 9. 12. 18:1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셋값 급등으로 세입자가 전세금을 돌려받지 못하는 '깡통전세' 피해 우려가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HUG의 전세보증보험 가입금액이 올해 50% 가량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HUG 관계자는 "카카오페이, 네이버부동산, HUG홈페이지 등 모바일·인터넷 비대면 채널을 통해 전세보증 가입이 가능하고, 지난해 임대사업자의 깡통전세가 이슈화 되면서 올해 가입자가 급증하고 있다"며 "그만큼 보증금을 떼일 위험으로부터 보호를 받을 수 있는 세입자들이 늘어났다는 의미기도 하다"고 설명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HUG 전세보증금 반환보증 가입
작년 실적 37조로 5년전의 52배
"연말까지 보증료 70~80% 할인"
#.서울시 강서구 다세대주택에 사는 김모씨(35세)는 지난 4월 전세계약 만료를 두 달 가량 앞두고 집주인에게 전세계약해지 의사를 통지했으나 새로운 임차인을 구할 때까지 보증금을 반환해 줄 수 없다는 답변을 들었다. 김씨는 전세 계약 시 가입했던 전세보증금반환보증이 떠올랐고, 주택도시보증공사(HUG)에 문의한 결과 전세계약 만료일료부터 1개월이 지나도록 전세금을 반환받지 못하면 이행청구 접수를 할 수 있고, 이행청구 접수 후 1개월 이내에 심사를 거쳐 HUG로부터 전세보증금을 돌려받을 수 있다는 설명을 들었다. 곧바로 김씨는 새 전셋집을 구한 다음 HUG 영업점과 협의해 이사갈 날짜를 정했다.

전셋값 급등으로 세입자가 전세금을 돌려받지 못하는 '깡통전세' 피해 우려가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HUG의 전세보증보험 가입금액이 올해 50% 가량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전세가율(매매가 대비 전세값)이 높은 빌라와 다세대주택 등 전세수요가 늘고있는 상황에서 정부가 '공공성 강화 방안'의 일환으로 전세보증금반환보증 할인 판매에 나선 영향으로 풀이된다.

■전세보증보험 가입 50% 급증

12일 HUG에 따르면 HUG 전세보증금반환보증 가입금액은 올해 8월까지 34조2463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작년 같은 기간의 22조9131억원 대비 49.5%나 급증한 규모다. 전세보증금반환보증은 임차인이 일정한 보증료를 납부하고 보증에 가입하면 전세계약 만기시에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하는 경우 임대인을 대신해서 보증기관에서 전세보증금을 돌려주는 보증상품이다.

HUG 전세보증보험가입은 최근 6년 새 급증세를 보이고 있다. 2015년 연간 가입규모가 7221억원에 불과했던 보증 실적은 2020년엔 37조2595억원으로 52배 가량 확대되기도 했다.

최근 몇 년새 빌라와 다세대주택, 연립주택 등 매매가보다 전세가가 높아져 집주인이 집을 팔아도 세입자에게 보증금을 돌려주지 못하는 사례가 늘어나면서 보증보험을 찾는 세입자가 늘어난 것으로 분석된다. 실제 지난해에는 서울 화곡동 일대 빌라를 수 백채 보유한 임대사업자의 전세보증금 미반환 문제가 사회적인 이슈가 된 바 있다. 전세보증보험 여부는 개인의 선택이지만, 최근 가입 문의하는 임차인이 늘고 있는 이유이기도 하다.

HUG가 해당 보증으로 보증료를 대위변제해준 건수는 2016년 23건에 불과했지만, 2018년 285건으로 늘어난 데 이어 2019년 1364건, 2020년 2283건으로 폭증했다. 올해 8월까지 대위변제 진행 건수도 1572건에 달한다. 그만큼

전세가가 매매가를 추월한 이른바 깡통 전세가 늘어났다는 의미다.

■보증보험 연말까지 최대 80% 할인

이에 정부에서도 전세입자들의 전세보증금반환보증 가입을 적극 장려하고 있다. 현재 전세보증 상품은 HUG와 한국주택금융공사(HF), 민간보증기관인 서울보증보험(SGI)에서 취급하고 있다.

임차인은 각 회사의 상품을 비교해 자신에게 맞는 상품에 가입하면 된다. 우선 전세보증보험에 가입하려면 임대차 계약 기간이 1년 이상이어야 하고, 점유와 전입신고로 대항력을 갖춰야 한다. 또 확정일자를 취득해 우선 변제권을 가지고 계약 기간 임차인이 실제로 거주해야 한다. 여기에 건물 및 토지에 대한 경매 신청이나 압류, 가압류, 가처분 등이 없어야 하며 건물 및 토지 소유자와 임대인이 일치해야 한다.

특히 HUG는 올 연말까지 서민의 재산권 보호를 목표로 전세보증보험 보증료를 70~80% 할인 제공한다. 또 가입 편의성을 위해 HUG는 지난해 비대면 가입 경로를 확대하기도 했다.

HUG 관계자는 "카카오페이, 네이버부동산, HUG홈페이지 등 모바일·인터넷 비대면 채널을 통해 전세보증 가입이 가능하고, 지난해 임대사업자의 깡통전세가 이슈화 되면서 올해 가입자가 급증하고 있다"며 "그만큼 보증금을 떼일 위험으로부터 보호를 받을 수 있는 세입자들이 늘어났다는 의미기도 하다"고 설명했다.

이 외에도 HUG는 분양보증 등 주택관련 다양한 보증부터 주택기금의 운용, 도시재생 뉴딜사업지원까지 다양한 영역에서 공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HUG 관계자는 "코로나19에 따른 국민과 주택업계 부담 완화를 위해 전세보증보험 뿐 아니라 주택분양보증과 임대보증금보증도 각각 50%와 70%씩 보증요율을 대폭 인하해 공급하고 있다"고 밝혔다.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