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왕이 방한, 유엔총회, 9·19 3주년..文 한반도 평화구상 '분수령'

김상훈 기자 2021. 9. 12. 14:33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文대통령 왕이 접견할 듯..한반도 문제·베이징 올림픽 참석 논의
유엔 동시가입 30주년, 9·19 선언 등 굵직한 이벤트..北 반응 주목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지난 2018년 9월19일 평양 백화원 영빈관에서 평양공동선언을 발표한 후 악수하고 있다. 2018.9.19 /뉴스1 © News1 평양사진공동취재단

(서울=뉴스1) 김상훈 기자 = 이번주 왕이 중국 외교담당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 방한을 시작으로 남북 유엔 동시가입 30주년, 9·19 평양 공동선언 3주년 등 남북 관련 굵직한 이벤트들이 예정된 가운데 문재인 대통령이 남북 대화 재개 모멘텀을 찾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

12일 청와대에 따르면, 문 대통령은 이번주 안보·외교 현안에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먼저 13일에는 호주 외교·국방장관 접견이 예정돼 있으며, 15일쯤에는 왕이 부장과의 회담도 점쳐진다.

가장 주목할 부분은 문 대통령과 왕이 부장의 만남이다. 회담이 이뤄진다면 최근 북한 영변 핵시설 재가동 등 북핵 문제와 남북대화 등 한반도 문제가 주요 의제로 다뤄질 전망이다. 또 내년 2월 열리는 베이징 동계올림픽의 성공적 개최를 위한 한국의 지지와 문 대통령의 초청을 제안할 것이란 예상도 나온다.

이밖에 17일 남북 유엔 동시가입 30주년, 19일 9·19 평양 공동선언 3주년을 맞아 문 대통령이 관련 메시지를 낼 가능성도 있다.

앞서 문 대통령은 올 초 신년사에서 남북 유엔 동시가입 30주년과 관련, "한반도 평화와 번영이 국제사회에도 도움이 된다는 것을 남북은 손잡고 증명해야 한다"고 의미를 부여한 바 있다.

9·19 평양 공동선언에 대해서도 지난해 SNS를 통해 "남북 시계가 다시 돌아가길 바란다"고 밝혔던 만큼 올해 역시 남북관계 복원을 위한 노력을 이어갈 것이라는 의지를 다시 한 번 표명할 것으로 예상된다.

아직 공식적으로 문 대통령의 참석 여부가 정해지지는 않았지만, 오는 21일(현지시간) 뉴욕에서 열리는 제76차 유엔총회에서 문 대통령이 국제사회에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재가동 의지를 재차 호소할 가능성도 높다.

특히, 이번 유엔총회는 문 대통령 임기 내 마지막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상당하다. 북한에 대한 국제사회의 호응을 촉구하고, 주요국의 지지를 재확인한다면 남북 대화 분위기가 고조될 수 있다는 관측이다.

이 때문에 청와대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상황 속에서도 그간 문 대통령의 유엔총회 대면 참석을 염두에 두고 관련 준비를 해왔다. 탁현민 청와대 의전비서관은 지난달 초 뉴욕에 답사를 다녀오기도 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제75차 유엔 총회 기조연설을 영상으로 전하고 있다. (청와대 제공) 2020.9.22/뉴스1

일련의 남북 관련 일정들은 북한에서도 관심을 갖고 지켜볼 만한 사안이라는 점에서 향후 북한이 어떤 태도를 보일지도 주목되는 부분이다.

현재 남북관계는 지난 7월27일 13개월 만에 통신 연락선 복구로 남북 대화 재개에 청신호가 켜지는가 싶었지만, 북한은 한미연합훈련을 이유로 지난달 10일부터 한 달 넘게 우리측 대화 시도에 응하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다만, 청와대 내부에선 최근 북한 정권수립기념일(9·9절) 열병식이 예년보다 축소돼 진행됐고, 김정은 노동당 총비서가 연설을 하지 않는 등 신중한 모습을 보임에 따라 북한의 대화 의지를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 청와대는 지난 한미연합훈련 이후 북한에서 특별한 도발징후가 포착되지 않은 점도 연계해 북한의 반응을 예의주시 중이다.

한편으론 문 대통령의 임기가 8개월여 밖에 남지 않았고, 곧 국내 정세가 대선국면으로 접어든다는 점에서 문 대통령의 평화구상에 대한 부정적 기류도 감지된다. 실제 문 대통령이 남은 임기 동안 남북관계 개선에 관여할 수 있는 가시적인 기회는 유엔총회와 프란치스코 교황 방북, 베이징 동계올림픽 참석 정도다.

하지만 최근 국제올림픽위원회(IOC)가 내년 2월 베이징 동계올림픽에 북한의 출전을 제한하면서 '평창→도쿄→베이징' 동북아 릴레이 올림픽을 계기로 한반도 평화를 이어가겠다는 문 대통령의 구상에도 먹구름이 낀 상태다.

일단 청와대는 이에 대해 말을 아끼고 있지만, 정부 안팎에서는 '스포츠와 관련한 조치는 조치이고 정치는 정치'라는 기류인 것으로 알려졌다.

IOC 조치와 상관없이 중국이 혈맹관계라고 하는 북한 측 최고지도자를 올림픽에 초청하는 정치 문제는 별개의 건으로 보고 올림픽을 계기로 한 남북정상회담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하지 않는 모습이다.

이와 관련,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정부는 남북 정상이 합의한 바와 같이 베이징 올림픽 등 다양한 계기를 통해서 남북한 스포츠 교류, 한반도 평화를 진전시킬 방안을 계속 찾아보고 노력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award@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