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계천 옆 사진관] 북한 김여정 실종(?) 사건
송은석기자 2021. 9. 12. 13:4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자본주의 국가들에게 북한은 늘 미지의 나라입니다.
북한이 제공한 철저히 통제된 영상과 사진만으로 기사를 써야 합니다.
최근 정권수립 73주년을 맞은 북한의 금수산태양궁전 참배 보도도 그랬습니다.
사실 이전에도 김여정 부부장은 1부부장에서 강등된 이후로 늘 비슷한 위치에 서 있었습니다.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자본주의 국가들에게 북한은 늘 미지의 나라입니다. 한국인에겐 더욱 그렇죠. 기자들도 마찬가지입니다. 북한이 제공한 철저히 통제된 영상과 사진만으로 기사를 써야 합니다.
최근 정권수립 73주년을 맞은 북한의 금수산태양궁전 참배 보도도 그랬습니다. 9일 오전 노동신문이 보도한 사진을 토대로 언론은 기사를 작성했습니다. 이 날 공개된 사진엔 김 위원장의 여동생인 김여정 당 선전선동부 부부장의 모습은 보이지 않았습니다.
여기까지만 보도가 됐으면 좋았겠지만 점심 즈음부터 김 부부장에 대한 추론이 보도됐습니다. 강경파였던 김 부부장을 불참시키면서 미국에 대한 대화의 메시지를 보낸 게 아니냐부터 시작해 임신설까지 제기됐습니다.
최근 정권수립 73주년을 맞은 북한의 금수산태양궁전 참배 보도도 그랬습니다. 9일 오전 노동신문이 보도한 사진을 토대로 언론은 기사를 작성했습니다. 이 날 공개된 사진엔 김 위원장의 여동생인 김여정 당 선전선동부 부부장의 모습은 보이지 않았습니다.
여기까지만 보도가 됐으면 좋았겠지만 점심 즈음부터 김 부부장에 대한 추론이 보도됐습니다. 강경파였던 김 부부장을 불참시키면서 미국에 대한 대화의 메시지를 보낸 게 아니냐부터 시작해 임신설까지 제기됐습니다.
그러다 오후 3시에 조선중앙통신이 제공한 영상을 통해 김여정 부부장이 뒷줄에 있었다는 게 확인됐습니다. 사실 이전에도 김여정 부부장은 1부부장에서 강등된 이후로 늘 비슷한 위치에 서 있었습니다. 다만 이번에 제공된 사진 앵글이 전경이 아니었기 때문에 포착되지 않았던 것입니다.
통상 북한의 영상 보도는 오후에 공개되기 때문에 조금 기다렸으면 좋았을 텐데 몇 시간 동안 잘못된 기사가 보도된 겁니다. 김정은 위원장 사망설과 다를 바 없는 오보였습니다.
김 부부장은 본의 아니게 사진이나 영상에 포착되는 경우가 더 많았습니다. 남북회담 당시에도 우리나라 언론들이 그녀에게 관심이 많아 한국 사진기자들이 프레임에 포함시켰을 뿐 가급적 앵글 밖에 있으려고 했습니다. 그래서 저는 이번 열병식에 그녀가 불참했다는 보도도 믿어지지 않습니다. 김 위원장 기둥 뒤 공간에 있었던 건 아닐까요?
송은석 기자 silverstone@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동아일보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
- 조성은 “공수처가 빨리 협조해 달라 전화”
- 태풍 찬투, 연휴 앞둔 17일 제주 서남쪽 해상까지 진출
- 사람 잡는 기계식 주차장…30대 운전자 추락사
- 이준석 “조성은, 대검 감찰부장과 ‘딜’ 했다는 건 이례적”
- “화이자 백신 맞은 아버지, 2주 후 심장이 차갑게 식었다”
- 尹, 검찰 고발 사주 의혹에 “시간 지나면 문제 드러날 것”
- 女 모르던 ‘베트남 타잔’ 문명 복귀 8년 만에 간암으로 숨져
- 도망친 아프간 대통령, “비극적 결말 유감… 국고 탈취는 사실 아냐”
- ‘5살 남아 과잉대응 논란’ 경찰서 “강제로 눕힌 적 없어” 해명
- 청년 70% “일해서 부자 못 돼”…부동산 폭등에 근로의욕 저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