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도 벌초 대행 인기..코로나 이전보다 40% 증가

박성은 2021. 9. 11. 21:34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예년 같으면 추석을 앞두고 벌초하러 산소를 찾을 때인데, 요즘 코로나 때문에 쉽지 않습니다.

그래서 벌초 대행을 맡기는 경우가 예전보다 더 많아졌다고 합니다.

이 내용은 박성은 기자입니다.

[리포트]

도심 외곽의 양지바른 산자락.

군데군데 산소가 들어서 있습니다.

온갖 풀과 잡목이 뒤엉켜 수풀처럼 변한 한 산소.

요란한 예초기 소리와 함께 벌초가 시작됩니다.

춘천산림조합 직원들이 벌초를 대신해 주는 겁니다.

한 시간쯤 뒤 작업을 끝낸 후, 벌초가 끝난 산소의 모습을 사진으로 찍어 후손들에게 보내줍니다.

[양기석/춘천시산림조합 직원 : "신청하신 분들의 마음을 조금이나마, 무거운 마음을 덜어드리고자 저희가 조상묘라고 생각하면서 성심성의껏 진행하고 있습니다."]

후손들은 깔끔하게 변한 산소의 사진을 보며, 가슴 한켠을 짓누르던 마음의 짐을 조금이나마 덜어냅니다.

[민배식/벌초 대행 의뢰자 : "코로나 때문에, 차라리 와서 조상님을 벌초를 하면 예의상 맞는데, 그렇지 못하고 산림조합에 위탁했습니다."]

산림조합의 벌초 대행 묘지 수는 2년 전까지만 해도 한 해 30,000기 대에 머물렀습니다.

그러다 지난해 40,000기를 훌쩍 넘기더니 올해는 벌써 5만 5,000기에 이릅니다.

특히, 춘천의 경우, 같은 기간 벌초 대행이 200기에서 450기로 늘었습니다.

[민도홍/산림조합중앙회 산림경영부장 : "늘긴 많이 늘어난 것 같습니다. 한 달 전부터 준비를 해서 시행을 하고 있어요. 지금 거의 뭐 종료된 것 같아요."]

코로나19 장기화로 더 멀어진 고향 가는 길.

벌초 대행을 통해서나마 애틋한 혈육의 정을 달래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박성은입니다.

촬영기자:홍기석

박성은

Copyright © KB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