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팝 전성기 맞았지만..벼랑 끝 몰린 대중음악계

보도국 2021. 9. 11. 09:3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팬데믹 장기화로 문화예술계의 어려움도 가중되고 있는데요.

현장 공연이 중단된 대중음악계에선 산업 붕괴 위기를 호소했습니다.

최지숙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국내 아티스트들의 해외 공연과 내한 공연을 주관해 온 대형 공연기획사, 라이브네이션코리아.

평일 오전인데도 사무실은 텅 비어 있습니다.

연 평균 150여 건의 국내·외 공연을 열었지만 코로나19가 확산한 지난해 3월부터 현재까지 단 한 건도 진행하지 못했습니다.

수십 명의 직원도 10명 미만으로 줄어들어 소통의 창구가 열리기만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김형일 / 라이브네이션코리아 대표> "기획사뿐 아니라 무대 조명, 음향, 비디오, 경호, 운영, 대관까지 종합 예술이고 많은 사람이 관련돼 있는데…안전하게 진행할 수 있는 방법을 (정부가) 같이 모색했으면 좋겠어요."

기약 없는 상황 앞에 폐업과 줄도산도 잇따르고 있습니다.

공연기획사 대표였던 천인우 씨는 지난해 9월, 적자를 버티지 못하고 7년간 운영한 회사를 닫아야 했습니다.

폐업 후 갈 곳 없는 마음을 다잡고 가장으로서 건설 현장과 택배, 대리운전 등 일거리를 찾아 다녔지만 꿈은 버릴 수 없었습니다.

<천인우 / 대중음악공연산업협회 사무국장> "관객이 공연을 보면서 위로를 받고 환희하고 함성을 질렀던 그 모습을 잊지 못하는 것 같아요. 다시 공연계 종사를 하게 돼서 그 모습을 이어가고 싶습니다."

지난해 대중음악 공연 산업 매출은 전년 대비 90%까지 급감하는 등 팬데믹 여파는 대중음악 시장을 뿌리째 흔들었습니다.

업계 종사자들은 대중음악 공연 중 확진자 전파 사례가 없었음에도 잠재적 범죄자 취급을 받고 있다며 대책 마련을 촉구했습니다.

<유승호 / 본부엔터테인먼트 대표> "이제라도 정부 책임자 대화 참여와 명확한 답변을 통해 업계의 작은 미래나마 조망할 수 있기를 요구합니다."

비약적 성장으로 세계 무대를 호령하고 있는 K팝, 그러나 그 근간을 떠받쳐 온 대중음악 공연계의 시름은 깊어지고 있습니다.

연합뉴스TV 최지숙입니다. (js173@yna.co.k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네이버에서 연합뉴스TV를 구독하세요
연합뉴스TV 생방송 만나보기
균형있는 뉴스, 연합뉴스TV 앱 다운받기

Copyright © 연합뉴스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