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보]살까기 성공한 北김정은..집권 이후 '외모' 변천사

최소망 기자 2021. 9. 11. 06:3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북한은 지난 9일 0시 정권 수립일 73주년을 맞아 심야 열병식을 개최했다.

열병식에서는 부쩍 살이 빠진 김정은 북한 노동당 총비서의 모습이 눈길을 끌었다.

국정원이 지난해 국회 정보위 국정감사에서 밝힌 것에 따르면, 키가 170㎝ 정도의 김 총비서의 몸무게는 집권 초기인 2012년 8월경 90㎏에서 해마다 6~7kg씩 체중이 늘어 2020년 11월 140㎏대로 늘었다고 보고했다.

그러나 무성한 소문을 깨고 나타난 김 총비서는 자신의 건강함을 과시하는 모습으로 나타난 바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평양 노동신문=뉴스1) = 9월9일 0시 북한 정권 수립일 73주년 기념 열병식에서 김정은 노동당 총비서가 정면을 응시하고 있다. 2021.09.09.[국내에서만 사용가능. 재배포 금지. DB 금지. For Use Only in the Republic of Korea. Redistribution Prohibited] rodongphoto@news1.kr

(서울=뉴스1) 최소망 기자 = 북한은 지난 9일 0시 정권 수립일 73주년을 맞아 심야 열병식을 개최했다.

열병식에서는 부쩍 살이 빠진 김정은 북한 노동당 총비서의 모습이 눈길을 끌었다. 기존보다 다소 갸름해진 턱선과 좋아진 혈색, 편안한 걸음걸이로 그의 건강에 이상이 없다는 점이 두드러졌다.

지난 7월 국가정보원은 국회 정보위원회에 그의 체중과 관련"10~20㎏ 체중을 감량했다"면서 "다이어트로 본다"고 보고했다.

일각에선 김 총비서가 최근 '경제난'에 허덕이는 내부 사정을 고려해 체중 감량을 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북한 주민들과 고통을 함께하며 그들을 달래기 위한 전략이라는 설명이다.

(평양 노동신문=뉴스1) = 김정은 북한 노동당 총비서가 지난 1월 14일 제8차 당 대회 기념 열병식에 참석한 모습. 2021.01.15 [국내에서만 사용가능. 재배포 금지. DB 금지. For Use Only in the Republic of Korea. Redistribution Prohibited] rodongphoto@news1.kr

이번 열병식 직전에 개최된 열병식은 올해 1월 15일 노동당 제8차 대회를 기념하는 행사였다. 이때까지만해도 가죽점퍼 차림을 차림을 한 김 총비서에게서 체중 감량의 흔적을 찾을 수 없었다.

(평양 노동신문=뉴스1) =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지난 6월4일 당 중앙위 본부청사에서 중앙위 제8기 제1차 정치국회의가 진행됐다고 5일 보도했다. 이번 김정은 총비서가 사회하며 약 한 달 만에 공개석상에 섰다. 2021.06.05.[국내에서만 사용가능. 재배포 금지. DB 금지. For Use Only in the Republic of Korea. Redistribution Prohibited] rodongphoto@news1.kr

김 위원장은 올해 5월 갑자기 공개행보를 약 한 달 간 멈춘적이 있다. 이후 지난 6월 다시 정치국회의에 얼굴을 드러내며, 살이 상당히 빠진 듯한 모습을 보였다. 당시 그의 손목시계가 다이어트 여부의 척도가 되기도 했는데, 평소 사용하던 손목시계 줄을 세 칸 조여 착용했다는 관측이 나오기도 했다.

국정원이 지난해 국회 정보위 국정감사에서 밝힌 것에 따르면, 키가 170㎝ 정도의 김 총비서의 몸무게는 집권 초기인 2012년 8월경 90㎏에서 해마다 6~7kg씩 체중이 늘어 2020년 11월 140㎏대로 늘었다고 보고했다.

김정은 당시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 2013년1월 1일 오전 조선중앙TV와 조선중앙방송 등 북한 매체를 통해 육성 신년사를 발표했다. (YTN 캡쳐) 2013.1.1/뉴스

집권 초기 그의 모습은 걸음걸이가 불편해 보일 정도로 살이 붙은 모습은 아니었다. 당시 할아버지인 김일성 주석의 모습을 닮기 위해 일부로 살을 찌운다는 설이 나오기도 했다.

그 이후 조금씩 살이 불더니 주기적으로 고도 비만에 따른 '건강이상설'이 제기됐다. 그러다 2014년에는 40일 간의 잠행을 이어간 적이 있다. 다시 모습을 드러냈을 때도 지팡이를 짚고 있는 모습이 보이기도 했다.

북한 김정은 노동당 제1비서가 2015년 10일 평양에서 진행된 노동당 창건 70년 기념식에서 대중연설을 진행했다.(조선중앙TV 캡처)2015.10.11.© News1

그러다 2015년부터 지속적으로 체중이 불어나는 모습을 보였다. 국가안보전략연구원은 당시 김 위원장의 몸무게가 120~130kg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북한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이 13일 '김일성 탄생 105주년(태양절)'을 기념해 고층빌딩으로 정비한 평양 여명거리 준공식 행사장에 도착했다. 뒤에 최룡해 노동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이 보인다. 2017.4.13© AFP=뉴스1 © News1 최종일 기자

시간이 지나 2016년, 2017년 그의 몸은 더욱 거대해지면서 건강에도 문제가 있는게 아닌지 각종 추측이 나오기도 했다.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27일 판문점에서 '도보다리' 친교산책을 마친 후 평화의집으로 이동하며 대화를 나누고 있다. 남과 북 양 정상은 이날 세계 유일 분단국가의 상징인 판문점에서 정상회담을 마치고 '한반도의 평화와 번영, 통일을 위한 판문점 선언'을 발표했다. 2018.4.27/뉴스1 © News1 한국공동사진기자단
문재인 대통령이 19일 평양 옥류관을 도착해 마중 나온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인사하고 있다. 2018.09.19/뉴스1 © News1 평양사진공동취재단

정보나 첩보로만 확인되던 그의 체중과 키 등 신상은 물론 건강과 관련한 문제가 2018년 남북 정상회담을 계기로 밝혀지기도 했다.

문재인 대통령과 부인 김정숙 여사가 20일 오전 김정은 국무위원장 내외와 백두산 천지를 산책하며 대화를 나누고 있다. 2018.9.20/뉴스1 © News1 평양사진공동취재단

2018년 9월 남북 정상이 함께 백두산 천지로 이동할 때 김 총비서가 거친 숨을 내쉬었던 일화는 유명하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2일(현지시간) 싱가포르 센토사 섬 카펠라 호텔에서 140여 분에 걸친 단독·확대정상회담과 업무오찬을 마친 뒤 북미정상회담 공동합의문에 서명 후 악수를 하고 있다. 2018.06.12© AFP=뉴스1 © News1 우동명 기자
문재인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30일 오후 회동을 마친 후 판문점을 나서고 있다.2019.06.30 © 로이터=뉴스1

또 2018~2019년 북미 접촉을 통해서 간접적으로 김 총비서의 체구와 건강 문제가 드러나기도 했다.

2018 년 5월 초 마이크 폼페이오 당시 미 국무장관이 방북 당시 리설주 여사가 남편인 김 총비서의 건강을 걱정하며 "남편에게 흡연이 위험하다고 말하곤 했다"는 얘길 한 것은 유명한 일화이다.

또 2019년 6월 판문점 남북미 회동 당시에도 김 총비서는 거대한 몸집을 유지하고 있었다. 당시 트럼프 대통령과 김 총비서의 만남을 최근접 거리에서 지켜본 터커 칼슨 폭스뉴스 앵커는 자사 프로그램 '폭스 앤드 프렌즈'와의 인터뷰에서 "김 위원장이 폐기종 환자처럼 쌕쌕거리며 숨을 쉬었다"고 말했다.

(평양 노동신문=뉴스1) =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지난 2020년 5월 2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노동절이었던 지난 1일 평안남도 순천린(인)비료공장 준공식에 참석했다고 보도했다. 2020.05.02.[국내에서만 사용가능. 재배포 금지. DB 금지. For Use Only in the Republic of Korea. Redistribution Prohibited] rodongphoto@news1.kr

이처럼 '비만'의 체중을 유지하던 김 총비서에게는 건강이상 설이 끊임 없이 붙을 수 밖에 없었다. 2020년 미국 CNN 방송의 보도를 시작으로 김 총비서의 '식물인간설' '위중설'까지 나돌기도 했다. 그러나 무성한 소문을 깨고 나타난 김 총비서는 자신의 건강함을 과시하는 모습으로 나타난 바 있다.

somangchoi@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