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이 먹으면 죽을 수도 있지"..불안감 부채질하는 부모의 말 [초보엄마 잡학사전]

권한울 2021. 9. 11. 06:03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초보엄마 잡학사전-147] "엄마 연고 먹으면 어떻게 돼?" 피부에 연고를 바르던 초등학생 아이가 엄마에게 묻는다. 엄마는 "많이 먹으면 죽을 수도 있지"라고 대답한다. 촉각은 물론 청각, 시각 등이 과민한 이 아이는 혀에 살짝 닿은 연고에 큰일이라도 난 듯 방에 침을 뱉고 방바닥을 구르며 몸을 주체하지 못한다. 이를 지켜본 한 육아 전문가는 "원래도 과민한 아이인데 옳고 그름을 정확하게 얘기하는 엄마가 더 부채질하는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육아 관련 한 방송 프로그램에 소개된 가정 이야기다.

과민하지는 않지만 조금은 예민한 큰아이가 떠올랐다. 유독 죽음, 질병을 두려워해 잠들기 전 무서움을 많이 탄다. 왜 그럴까 생각해보니 평상시 아이 질문에 과하게 반응한 내 말들이 떠오른다. 횡단보도를 건널 때 차를 조심하라고 하면 될 것을 노파심에 큰 트럭에 치이면 죽는다고 하거나, 낯선 곳에서는 부모 손을 꼭 잡고 다녀야 한다고 하면 될 것을 손을 안 잡고 다니면 영영 헤어지게 된다는 식 설명이 아이의 두려움을 극대화한 것이다.

아이가 더 조심하길 바라는 마음에서 한 말이지만, 아이는 낯선 곳에 가면 땀이 나도록 손을 꽉 잡았고 횡단보도를 건널 때도 더 조심스러워했다. 안전에 있어서는 조심해서 나쁠 것이 없지만, 아이가 안전에 예민해지니 너무 과하게 조심시켰나 하는 생각도 든다.

다른 것도 마찬가지다. 부모 입장에서 아이가 궁금해하면 정확히 알려주는 게 맞는다고 생각했지만, 아이는 극단적인 결과를 기억하는 경우가 많았다. 독버섯을 먹거나 말벌에 쏘이면 어떡하냐는 질문에 많이 먹거나 심하게 쏘이면 병원에 가야 할 수도 있다고 답하니, 벌이 근처에만 와도 벌벌 떤다. 이쯤되니 어디까지 알려줘야 할지 헷갈린다.

연고를 먹으면 어떻게 되냐고 물었던 아이 이야기로 돌아오자. 이 상황에서 아이에게 적절한 엄마의 답변은 무엇이었을까. 방송에 출연한 육아 전문가는 "연고가 입에 조금 닿거나 한 번 먹는다고 별일이 일어나지는 않아"라고 답했으면 좋았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같은 상황은 아니지만 나 역시 아이에게 다음부터는 횡단보도를 건널 때 좌우를 살피고 건너는 게 좋다고, 낯선 곳에서는 부모 손을 잘 잡고 다녀야 한다고 할 걸 그랬다. 아니, 아직 늦지 않았다.

[권한울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