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와 시각>'냄새' 나는 여권 과잉 공세

김세동 기자 2021. 9. 10. 11:4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윤석열 전 검찰총장 측이 지난해 4월 총선 직전 여권 정치인에 대한 고발을 야당에 사주한 의혹이 있다는 인터넷 언론사 보도로 여권이 아주 신이 났다.

당시 대검 수사정보정책관이 부장검사 출신의 야당 국회의원 후보에게 '검언유착' 사건 제보자와 여권 정치인들에 대한 고발장을 건넸다는 보도를 송영길 더불어민주당 대표, 이해찬 전 총리 등 여권 실세 정치인들이 기정사실화하면서 "국기 문란" "쿠데타 음모"라며 마구잡이 정치 공세를 펴고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김세동 전국부장

윤석열 전 검찰총장 측이 지난해 4월 총선 직전 여권 정치인에 대한 고발을 야당에 사주한 의혹이 있다는 인터넷 언론사 보도로 여권이 아주 신이 났다. 당시 대검 수사정보정책관이 부장검사 출신의 야당 국회의원 후보에게 ‘검언유착’ 사건 제보자와 여권 정치인들에 대한 고발장을 건넸다는 보도를 송영길 더불어민주당 대표, 이해찬 전 총리 등 여권 실세 정치인들이 기정사실화하면서 “국기 문란” “쿠데타 음모”라며 마구잡이 정치 공세를 펴고 있다. 손준성 검사는 김웅 의원에게 전달한 사실 자체를 부인하고 있는데도, 손 검사의 배후를 윤 전 총장으로 아예 단정하면서 대선 주자를 사퇴하라는 주장도 한다. 뉴스버스라는 잘 알려지지 않은 매체가 보도한 당일 여권 인사들이 마치 기다렸다는 듯이 관련 뉴스를 퍼 나르면서 상당히 무리한 정치 공세를 펼쳐 김어준 말마따나 공작의 관점에서 보면 음모의 냄새가 난다.

조금만 유리하다 싶은 상황이 발생하면 정황을 따지지 않고 흥분해 달려드는 건 여권의 오랜 습성으로, 이젠 유전자로 굳어진 것 같다. 국기 문란, 쿠데타 음모 주장도 단골 레퍼토리다. 박근혜 대통령 때 기무사령부가 헌법재판소에서 탄핵이 기각되고(가정 ①), 시위 군중이 청와대 담을 넘어 들어올 경우(가정 ②)를 대비해 계엄령 관련 문건을 만든 게 2018년 7월 드러났을 때 여권의 반응이 딱 이랬다. 그때도 실제의 쿠데타 음모를 적발한 양 난리를 쳤지만 단 한 명도 기소하지 못했다. 이중의 가정 상황을 전제한 대비문건 작성을 범죄로 몰기에 무리였을뿐더러 직무정지 상태에서 벗어난 대통령이 계엄령을 내리는 게 불법도 아니기 때문이다. 태산명동서일필로 끝났으나 사과 한마디 안 했다.

이번 사태는 여권이 희희낙락할 일만도 아닌 게 검언유착 사건이 여권 정치인들과 공영방송이 결탁해 조작한 정황이 법원 판결로 드러나는 등 고발장 내용이 대부분 사실이라는 점이다. 여권이 반성부터 해야 한다는 말이다. 더구나 ‘윤석열 검찰 고발 사주설’이 여권의 주장대로 귀착되기엔 매우 엉성하게 짜여 있다. 무엇보다 여권 정치인에 대한 야당발 고발이 이뤄지지 않았다. 검찰총장의 오른팔이라는 사람이 ‘국기 문란 쿠데타’라는 무시무시한 과업을 자신의 선거에 여념이 없는 ‘일개’ 부장검사 출신에게 맡겼다는 게 납득이 안 된다. 더 웃긴 건 김웅이 그걸 제대로 읽어보지도 않고 의원 신분도 아닌 당직자에게 그냥 포워딩하고 말 정도로 무성의했다는 점이다. 조국 딸의 인턴 활동, 표창장 등 7개 스펙이 전부 허위로 드러나 부산대 의학전문대학원 입학이 취소되자 대선 주자들을 비롯한 여권 인사들은 대법원 확정판결 전에 이런 결정이 나면 안 된다며 벌떼처럼 달려들었다. 우리 편이 관련됐으면 법원에서 판결된 사실도 부인하고, 야권 사안은 털끝만 한 의혹만 제기돼도 나라가 뒤집힌 것처럼 침소봉대하고 난리를 친다. 여권이 북이며 꽹과리를 세게 치면 칠수록 실체가 없는 사안을 갖고 작업한다는 느낌이 강하게 든다. 그나저나 국기 문란은 김경수 전 경남지사가 연루된 ‘드루킹’ 사건, 청와대의 울산시장 선거개입 사건 같은 데 붙일 이름 아닌가.

[ 문화닷컴 | 네이버 뉴스 채널 구독 | 모바일 웹 | 슬기로운 문화생활 ]

[Copyrightⓒmunhwa.com '대한민국 오후를 여는 유일석간 문화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구독신청:02)3701-5555 / 모바일 웹:m.munhwa.com)]

Copyright © 문화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