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10일 조간)

김유경 2021. 9. 10. 08:0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경향신문 = "모든 아동의 죽음, 국가에서 관리하라"는 인권위 권고

'메신저' 공격하고 왜곡된 언론관 드러낸 윤석열 회견

언론중재법 8인 협의체, 한계 인정하고 각계 의견 수렴해야

▲ 국민일보 = 일본의 역사·교과서 왜곡, 대체 끝이 어딘가

전략 무기 없었던 열병식…북, 대화 위한 결단 내릴 때

정관계 뇌물 의혹 못 밝힌 가짜 수산업자 사건

▲ 서울신문 = 언론중재법 협의체, 독소 조항 놔두려면 법안 폐기해야

'대선 줄대기' 공직자, 선거중립 훼손 엄벌에 처해야

카카오와 네이버의 '지네발'식 골목상권 침해

▲ 세계일보 = 도 넘은 택배노조 갑질 횡포, 더 이상 좌시하지 말라

국민지원금 이의신청 폭주, 졸속·날림행정의 후과다

플랫폼 기업 폐해는 손보되 혁신까지 막아선 안 돼

▲ 아시아투데이 = '빚잔치' 공기업 경영 정상화 더 미룰 순 없다

청년 구직단념, 제도와 발상의 변화로 풀자

▲ 조선일보 = 네이버·카카오다운 혁신적 상생 방안 보고 싶다

탈원전으로 전력 결핍국 된 伊 환경장관 "원자력 재개" 호소

공기업 신규 채용 반 토막, '정규직 강제 전환'의 역설이 시작됐다

▲ 중앙일보 = 경찰, 자영업자는 틀어막고 민주노총은 감싸나

네이버·카카오 다시 혁신의 정신으로 돌아가라

▲ 한겨레 = 핀테크 기업, '금융소비자 보호' 없이는 혁신도 없다

SKY 줄고 비수도권 증가, '블라인드 채용' 입법 필요

'고통의 형평성' 호소한 자영업자들 심야 차량시위

▲ 한국일보 = 과거사 반성은커녕 '종군' '강제' 삭제하는 일본

'고발 사주' 의혹 제보자 비방, 도를 넘었다

골목상권 위협하는 플랫폼 갑질 대책 절실하다

▲ 디지털타임스 = 일파만파 '尹 고발사주 의혹' 신속 수사만이 해법이다

대기업 선한 기부의욕 꺾는 극심한 관료주의

▲ 매일경제 = 차등의결권 허용 이번 정기국회서 매듭지어라

네이버·카카오 독과점 규제, 혁신동력까지 훼손해선 안된다

'수소 원팀'으로 뭉친 15개기업 제대로 시너지 내보라

▲ 서울경제 = "정치 중립" 말만 말고 관권 개입 방지 장치 마련하라

神도 들어가기 어려운 공기업, '이념 중독' 탓이다

"제발 살려 달라" 자영업자 절규 안 들리나

▲ 이데일리 = 지하철 협상, 불씨 만든 정부 탓 크지만 파업은 막아야

발권력 동원해 장영업자 지원, 여당 요구 터무니없다

▲ 전자신문 = 잡코인, 발본색원해야

반가운 공공 DB시장 경쟁

▲ 한국경제 = '대선공약 도우미' 자처한 현직 차관, 산업부만의 적폐인가

플랫폼 규제한다지만 '소비자 선택'까지 통제할 순 없다

국고 털고 이젠 韓銀 발권력까지…기막힌 포퓰리즘 정치

▲ e대한경제 = 단계적 일상 회복 준비가 '방역 완화' 신호돼선 안 돼

청년 실업률 치솟고 구직단념자 속출, 규제 양산 이젠 그쳐야

(서울=연합뉴스)

☞ 배우 정애연-김진근 부부, 결혼생활 12년 만에 이혼
☞ '나의 그리스식 웨딩' 아버지역 마이클 콘스턴틴 별세
☞ 대구서 마이크 직접 든 김총리…"무릎 꿇었다 작살"
☞ 서울 마포구 지하철 환풍구서 20대 노동자 추락사
☞ "같이 천국가자" 생활고에 아들 4차례나 살해하려한 엄마
☞ 제천서 50대 모더나 접종 22일 뒤 숨져…이상반응 신고
☞ "코로나19 감염후 '이 백신' 맞으면 '초인적 면역' 생긴다"
☞ 北열병식에 오렌지색 '코로나19 부대'…살 확 빠진 김정은
☞ "러시아 장관, 추락자 구하려 절벽서 뛰어내리다 사망"
☞ 의사 행세하며 미성년자와 성관계 30대 항소심서 무기징역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