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속 한줄] 먹기 위해 산다지만/손원천 선임기자

손원천 2021. 9. 10. 05:0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우리가 에덴동산에서 쫓겨난 이유를 탐식의 탓이라고 생각한다.

먹는 것을 탐닉한다는 것은 하느님의 뜻이 아닌 속세의 쾌락을 추구함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토할 때까지 먹고, 먹기 위해 또 토한다.

'악마의 정원에서'(생각의 나무) 중 폭식 편의 한 장면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우리가 에덴동산에서 쫓겨난 이유를 탐식의 탓이라고 생각한다. 그렇지 않다. 신학자들의 말에 따르면 폭식이 그 주범이다. 폭식의 죄는 ‘지나치게’ 먹는 데 있지 않고 단지 먹는 것을 ‘탐닉하는’ 데 있다. 먹는 것을 탐닉한다는 것은 하느님의 뜻이 아닌 속세의 쾌락을 추구함을 의미하기 때문이다.※(73쪽)

76년 로마의 졸부 트리말키오의 저택. 만찬이 막 시작됐다. 암퇘지 젖통, 수탉의 볏, 날쌘 토끼의 고환, 홍학의 혀, 타조의 뇌를 맛보고 나면 본격적인 정찬이다. 겨울잠쥐로 만든 샌드위치, 피그 페커라는 아주 작은 새를 넣은 달걀, 뜨거운 소스를 부어 방금 죽인 생선, 거위와 백조 통구이 등이 거푸 나온다. 그리고 ‘마침내’, 메인 코스 차례다. 토할 때까지 먹고, 먹기 위해 또 토한다.

‘악마의 정원에서’(생각의 나무) 중 폭식 편의 한 장면이다. 책은 금기시됐던 음식의 역사를 성서에 나오는 7가지 죄악, 색욕·폭식·오만·나태·탐욕·불경·분노에 대비해 짚고 있다. 우린 여전히 ‘먹방의 시대’에 산다. 풍요의 결실을 누리는 건 옳다 해도, 지나침은 경계해야 한다. 분초를 다퉈 파괴되는 환경 속에서 오염물질을 품고 자란 동식물들이 식탁에 오르기 시작할 때, 인간은 그들의 복수에 떨어야 할지도 모른다.

손원천 선임기자 angler@seoul.co.kr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