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규의 두줄 칼럼] [2] 송무백열(松茂柏悅)

이동규 경희대 경영대학원 교수 2021. 9. 10. 03:01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 의해 수정되어 본문과 댓글 내용이 다를 수 있습니다.

소나무가 무성하면 잣나무도 기쁘다.
사촌이 땅을 사야 나도 잘된다.

‘송무백열’. 이 말은 원래 벗이 잘되는 것을 기뻐할 때 비유적으로 쓰는 말이다. 사촌이 갖은 고생 끝에 땅을 사게 되었다면 나도 기뻐해야 정상적 인간이다. 그러나 작금의 대한민국은 “사촌이 땅을 사면 배가 아프다”, 심지어 “배고픈 건 참아도 배 아픈 건 못 참는다”는 업그레이드 버전까지 버젓이 나돌고 있다. 서양에도 “부자란 자신보다 더 많이 버는 동서다”라는 말이 있기는 하다. 상부상조 전통에 빛나는 우리 민족의 DNA를 정면 부정하는 이 고약한 풍토는 도처에서 심각한 부작용을 일으키고 있다. 너도나도 이젠 사촌이 땅을 사야 나도 잘된다는 것을 깊이 깨닫고 참다운 인성 교육을 범국민적으로 강화해나가야 한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