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풍에 돛 달자".. K-조선, 친환경·스마트화 '박차'

김형준 2021. 9. 9. 21: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고부가·친환경 선박에 경쟁 우위를 가진 국내 조선산업을 장기적으로 더 키우기 위해 정부가 이에 필요한 인재 육성에 대대적으로 나선다.

문승욱 산업부 장관은 "우리 조선업계가 친환경·스마트화 패러다임을 주도하고 세계 시장의 비전을 제시하는 리더가 되기 위해선 당장 시급한 인력확보와 함께, 향후 시장확대가 전망되는 친환경·자율운항 선박분야의 전문인력양성, 핵심기술개발과 국내기술·기준의 국제 표준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정부, 'K-조선 재도약 전략' 발표 
내년까지 생산인력 8000명 양성
2030년까진 생산성 30% 향상 목표
문재인 대통령이 9일 경남 거제시 삼성중공업에서 열린 K-조선 비전 및 상생 협력 선포식에서 발언하고 있다. 거제=왕태석 선임기자

고부가·친환경 선박에 경쟁 우위를 가진 국내 조선산업을 장기적으로 더 키우기 위해 정부가 이에 필요한 인재 육성에 대대적으로 나선다. 최근 세계 선박시장 회복으로 조선사업에 불어오는 ‘훈풍’을 제대로 살리는 돛을 달겠단 얘기다.

정부는 삼성중공업 거제조선소에서 내년까지 약 8,000명의 조선 인력을 양성하고, 스마트 야드 등 디지털 기반 생산역량도 강화해 2030년까지 생산성을 30% 이상 끌어올리겠다는 목표를 담은 ‘K-조선 재도약 전략’을 수립했다고 9일 밝혔다.

‘세계 1등 조선강국’ 도약을 목표로 내건 이번 전략에는 친환경 자율운항 선박의 시장점유율을 확대해 세계 1위를 수성하고, 중소조선사와 조선 기자재산업의 친환경·디지털 전환을 촉진해 건강한 조선산업 생태계를 갖추겠단 계획이 담겼다.

산업부 등 관계부처에 따르면, 최근 세계 선박 시장은 VLCC(20만DWT 이상), 대형 컨테이너선(1만2,000TEU 이상), 대형 LNG운반선(174㎦ 이상)을 포함한 고부가가치 선박과 LNG·LPG 추진선 등 저탄소 선박 및 수소·암모니아 추진선 등 무탄소 선박을 포함한 친환경 선박이 대세로 자리잡고 있다.

또 지난해 2,264만CGT(표준선환산톤수)까지 줄었던 세계 선박 발주량은 올해 들어 급반등했다. 올해 1~7월에만 지난해 수준을 훌쩍 넘어선 3,021만CGT의 수주가 이뤄졌는데, 이 가운데 고부가 선박이 48%, 친환경 선박은 34%를 차지하고 있다. 이는 재작년 각각 26%(고부가 선박), 30%(친환경 선박) 비중에 비해 크게 높아진 수치다.

친환경 선박을 키우고 ‘스마트 선박’으로 꼽히는 자율운항 선박 개발에도 박차를 가한다. 정부는 일단 LNG 추진 선박의 핵심 기자재를 국산화하고, 2030년까지는 국가 관공선의 85%인 388척을 친환경 선박으로 전환해 수요 기반을 넓일 계획이다.

이를 통해 중소 조선소들이 LNG선박 설계 및 엔지니어링 전문인력을 양성하면서 약 2조4,000억 원의 안정적인 매출을 기록할 수 있도록 돕겠다는 게 정부 구상이다.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등 4차 산업혁명 요소 기술을 적용한 자율운항선박도 2025년까지 개발한다는 목표를 가지고, 이 때까지 1,603억원을 투입해 기술개발 사업을 진행할 예정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고부가·친환경 선박은 우리 조선산업이 경쟁 우위를 가진 분야로, 수주 실적이 개선되고 있는 지금이 조선산업의 재도약을 준비할 절호의 기회”라고 설명하면서, 조선업 수주 실적을 뒷받침 하기 위한 인력수급을 지원할 계획도 밝혔다.

고용노동부가 훈련비와 인건비, 지방자치단체가 4대 보험료를 지원하는 ‘경남형 고용유지모델’을 울산과 목포, 부산 등으로 확대하면서, 내년 말까지 최대 8,000명의 조선 인력을 늘리겠단 구상이다. 구체적으로는 생산기술 인력양성 교육사업 규모를 내년 2,660명까지 늘리고, 퇴직자 재고용 기업에 최대 8개월간 30만~50만원의 채용장려금을 지급한다는 게 정부 방침이다.

문승욱 산업부 장관은 “우리 조선업계가 친환경·스마트화 패러다임을 주도하고 세계 시장의 비전을 제시하는 리더가 되기 위해선 당장 시급한 인력확보와 함께, 향후 시장확대가 전망되는 친환경·자율운항 선박분야의 전문인력양성, 핵심기술개발과 국내기술·기준의 국제 표준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형준 기자 mediaboy@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