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우리금융 지분 10% 연내 판다
공적자금 회수율 96% 육박예상
우리금융 이사회서 예보 빠지고
지분 매수자가 사외이사 추천권
증권사 등 M&A 탄력 받을 듯
공적자금관리위원회는 9일 우리금융 과점주주 등과의 협의를 거쳐 우리금융지주 잔여지분 매각 방안을 공고했다고 밝혔다. 핵심은 예보가 보유한 지분 15.13% 중에서 최대 10%를 장기투자자들에게 연내 매각한다는 것이다.
공자위는 이번 매각이 희망수량 경쟁입찰 방식이라고 밝혔다. 블록딜(주식 대량매매)에 비해 장기투자자 확보가 가능하고 매각 수량과 가격에서 유리하다는 판단에서다. 다만 투자의향서 접수나 본입찰 단계에서 유효경쟁이 성립되지 않거나 입찰 가격 등이 공자위 기준에 미치지 못한다면 블록딜로 전환될 수도 있다.
매각 물량은 최대 10%이고 최소 입찰 물량은 1%다. 낙찰자 결정 기준은 입찰 가격순으로 결정하되 과점주주 매각의 특수성을 감안해 비가격 요소도 일부 반영된다. 예보 지분 4% 이상을 신규로 매수하는 장기투자자들은 우리금융지주와 우리은행의 사외이사 추천 권리를 얻는다. 그 대신 예보는 대량 매수자가 나오면 지분율이 낮아져 이 권리를 잃게 된다. 현재 우리금융의 단일 최대주주는 예보이지만, IMM프라이빗에쿼티(5.62%) 등 과점주주 5곳이 20.33%를 보유하고 있다. 2016년 예보가 보유 지분을 과점주주 6곳에 매각했고, 올 7월 동양생명이 지분(3.74%) 전량을 매각하면서 현 체제가 구축됐다.
공자위는 예보가 우리금융 지분을 6% 이상만 매각하면 민영화가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민영화를 위해서는 예보 지분율이 국민연금(9.8%)보다 낮아져야 한다는 뜻이다.
금융권에서는 정부의 우리금융지주 지분 매각이 성공적으로 이뤄지려면 주가가 먼저 올라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다. 예보는 외환위기 이후 금융사 구조조정 과정 중에 우리금융에 막대한 공적자금을 투입했다. 2001년 우리금융지주가 국내 최초의 금융지주사로 출범했지만 당시 예보의 우리금융지주 지분율은 100%에 달했다. 이후 예보는 지속적으로 블록딜을 시도했고 조금씩 지분을 줄여 민영화하는 방향을 택했다. 2004년 이후 2010년까지 지속적으로 블록딜을 통해 3조2675억원 규모 지분을 팔았지만 제값을 받지 못했다는 비판도 제기됐다. 실제 2010년을 제외한 2004년·2007년·2009년 블록딜 때 예보는 우리금융 주가(당시 종가 기준)보다 낮은 가격에 지분을 매각했다. 9일 우리금융지주 종가(1만800원) 기준으로 예보 지분 10%를 매각하면 공적자금 회수율은 96%에 육박하게 된다.
올 들어 우리금융은 상반기 기준 사상 최대 실적을 올렸다. 실적에 대한 자신감과 민영화 연내 추진을 위해 손태승 회장도 나섰다. 손 회장은 2018년 3월 우리은행장 취임 이후 14차례에 걸쳐 자사주를 매입한 것이다. 지난 7월 말 기준 보유 주식의 가치는 10억원 상당이다. 여기에 최근 금융당국을 상대로 한 해외금리연계 파생결합펀드(DLF) 징계 취소 소송에서도 이기면서 경영 리스크를 덜어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윤원섭 기자 / 문일호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이 많은 나라 빚 누가 다 갚나"…세금 55조 더 걷혔지만 국가부채 900조 최대
- 정부 "우리금융 지분 10% 연내 매각"
- 한은 "경기회복 국면, 금리인상 실보다 득"
- 오바마를 홀린 소설…`파친코` 작가가 말하는 스토리텔링의 힘
- "온통 안되는 것 뿐"…25일부터 카카오페이 알모으기 못한다
- 강경준, 상간남 피소…사랑꾼 이미지 타격 [MK픽] - 스타투데이
- AI가 실시간으로 가격도 바꾼다…아마존·우버 성공 뒤엔 ‘다이내믹 프라이싱’
- 서예지, 12월 29일 데뷔 11년 만에 첫 단독 팬미팅 개최 [공식] - MK스포츠
- 이찬원, 이태원 참사에 "노래 못해요" 했다가 봉변 당했다 - 스타투데이
- 양희은·양희경 자매, 오늘(4일) 모친상 - 스타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