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김웅 "고발장 조작은 아닌 듯..손준성에 확인할 생각은 없다"

이주빈 2021. 9. 7. 17:06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윤석열 검찰 ‘고발 사주’ 의혹]

김웅 국민의힘 의원. <한겨레>자료사진

범여권 인사 및 언론인 고발 사주 의혹의 열쇠를 쥐고 있는 김웅 국민의힘 의원이 <한겨레>와의 두 차례 인터뷰에서 “나는 고발장을 쓴 적이 전혀 없다”고 밝혔다. 윤석열 캠프에 합류한 같은 당 장제원 의원이 “고발장은 김 의원 자신이 만들었다고 증언했다”며 녹취록을 들고 나오자, 이를 정면 반박한 것이다. 그러나 일부 언론은 다시 “고발장을 내가 만들었다”는 김 의원과의 통화 내용을 기사화했고, 이에 김 의원은 또다시 “만들지 않았다”고 해명하는 상황이 반복되고 있다.

지난 2일 첫 의혹 보도가 나온 뒤 김 의원은 여러 쟁점에 대해 애매모호한 표현과 해명을 반복하는 갈짓자 행보를 보였다. 발언 신뢰성은 의심 받고 있다. 같은 질문에도 조금씩 답변 내용과 표현, 방향이 바뀐다. 정치적 부담과 책임이 눈덩이처럼 커지고, 수사가 불가피하다는 주장까지 나오자 해명이 꼬이기 시작했다.

이에 김 의원은 “(4월3일과 4월8일 전달된 고발장 두 건) 모두 내가 쓴 것이 아니다. (언론 등에) 내가 작성했다고 한 것은 (4월8일) 최강욱 의원 관련 고발장이다. 그것도 이런저런 아이디어와 메모, 표를 낙서하듯 해서 전달했지, 고발장 자체는 쓴 적이 전혀 없다”고 거듭 강조했다. 지난해 4월 ‘손준성 보냄’으로 당 쪽에 전달된 최 의원 고발장이 넉 달 뒤 일부 단어만 바뀐 채 그대로 대검찰청에 접수되는 과정에 관여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김 의원은 업무방해 혐의로 기소된 최 의원이 기소된 내용과 다른 허위 주장을 펴는 방송을 보고 당 쪽에 ‘공직선거법 고발 아이디어’를 냈을 뿐 이후 진행 상황은 모른다고 했다.

그러면서도 김 의원은 4월3일과 4월8일 중개된 고발장 2건과 관련해서는 “누군가로부터 전달 받은 고발장 등을 당시 케이(K) 당직자에게 전달했다. 해당 당직자는 현재 특정 캠프에 합류한 것으로 안다”고 했다. ‘손준성 보냄’이라고 표기된 텔레그램 메시지를 통해 당에 전달한 고발장이 조작됐을 가능성에 대해서는 “그럴 가능성은 없다고 본다”고 했다.

김 의원은 자신에게 고발장을 전달했다는 의혹을 받는 손준성 전 대검찰청 수사정보정책관에게 직접 이번 상황을 확인하면 될 것 아니냐는 질문에 “말맞추기로 비출 수 있다”며 거부했다. 지금 핸드폰엔 손준성 검사 전화번호도 저장돼 있지 않다고 했다. “기억이 나지 않는다”면서도 자료를 다 넘겼다고 지목한 케이 당직자가 “특정 후보 캠프에 가 있다”며 당시 상황을 물어볼 뜻이 없다고 했다.  

김 의원은 8일 오전 9시30분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연다. ‘윤석열 검찰’ 쪽과의 연결 고리 등 핵심 쟁점 등에서 명확하고 진전된 입장을 밝히지 않으면 오히려 의혹만 더 키울 수 있다. 김 의원과의 인터뷰는 6일 밤과 7일 오전 두 차례 46분 간 전화로 이뤄졌다. 다음은 일문일답.

 ―고발장 작성 주체를 두고 논란이 일고 있다.
“솔직히 말해서 나는 <뉴스버스>에서 (지난 1일) 전화 왔을 때, 무슨 내용인지 잘 몰랐다. 전혀 기억이 없었다. 그런데 최강욱 열린민주당 대표 (고발)건은 기억이 나더라. 최 대표 관련해서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조국 전 법무부 장관 아들 인턴 활동과 관련한 허위사실 유포 등 혐의)를 우리 당에서 제일 먼저 이야기한 것이 나다. 그때 (<뉴스버스>에서) 손준성 검사한테 (내가 자료를) 받았고 어쩌고 그러길래, 그날은 무슨 말인지 도저히 모르겠어서 (그런 자료를) 받았는지,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고 다시 통화하자고 했다.”
―추가 통화는?
“다음날 전화가 왔는데, 내가 아무리 생각해도 기억이 안 나더라. (<뉴스버스> 기자가) 고발장에 (윤석열 전 검찰총장 아내인) 김건희씨와 한동훈(검사장)이 (피해자로) 나온다고 해서, 내가 ‘그게 뭔 말이냐’라고 했다. 그랬더니 고발장 자료를 내가 받아서 당에 전달한 것을 확인했다더라. 자기들이 그 파일도 갖고 있다고 하더라. 그래서 ‘거기에 김건희씨가 있다면, 그것은 검찰 쪽 입장이 반영된 거겠지’라고 말한 거다. 그때까지 나는 무슨 내용인지도 몰랐다.”
―당시 받은 자료는?
“내가 받은 자료는 다 당에 전달했다. 그리고 받은 자료는 다 지운다. 제보자를 보호하기 위해서다. 그러다 보니, 내가 이런 자료를 받았는지, 안 받았는지 확인이 안 된다. 지난 2일 낸 입장문에 ‘공익제보를 마치 청부 고발인 것처럼 몰아가는 것은 공익제보를 위축시키는 것’이라고 썼는데, 그때까지도 나는 이것이(자료) 뭔지 몰랐다. 그래서 내가 찾아봤는데, 나는 6개월마다 휴대전화를 바꾼다. 의원 되고 나서도 세 번이나 바꿨다. 나는 당시 받은 자료를 확인할 방법이 전혀 없다.”
―자료를 당에 전달했는데, 내용은 기억나지 않는가?
“언론보도를 보니, 지난해 4월3일, 4월8일 (두 차례에 걸쳐 누군가가 나에게 범여권 인사 고발장 등을) 나한테 보냈고, 내가 그걸 우리 당에 전달했다는 거다. 그때는 4·15총선 직전으로 새벽 5시에 일어나 선거운동할 때다. 그 와중에 나에게 전달된 게 무슨 내용인지 어떻게 알았겠는가. 당시 나한테 오는 것은 무조건 당에 다 전달했다.”
―당시 자료를 전달한 이에게 확인해볼 수 있는 것 아닌가?
“언론보도 전에는 내가 누구한테 (텔레그램으로 자료를) 보낸 것까지 기억을 못 했다. 그런데 보도를 보면서 내가 전달한 상대방이 기억이 나더라. (손)준성이가 나한테 보낸 건지, 준성이가 다른 사람에게 줘서 그 사람이 나한테 두세 단계 거친 걸 줬는지는 모르겠다. 그런데 보도를 보면, 지난해 4월3일, 4월8일 두 차례 (‘손준성 보냄’이라는 표기로) 고발장이 전달됐(고 내가 이를 다시 전달했)다고 하는데, (4월8일 전달된) 최강욱 대표의 고발장과 관련해서는 내가 최초 (공직선거법 위반) 문제제기를 했기 때문에 당시 우리 당 법률지원단 사람들한테 적어가면서 공직선거법 위반에 대해 이야기해준 게 있다. 그래서 ‘내가 초안 잡아줬을 텐데’라고 얘기한 거고. (내가 전달한) 그 고발장 내용에 대해서는 몰랐던 거다. 기억은 안 나는 데 만약 언론보도 내용이 사실이라고 한다면, 내가 받아서 전달한 게 당 쪽 인사는 맞을 거다. 그런데 손 검사는 절대 안 보냈다고 하는 거야.”
―손 검사가 다른 사람한테 주고, 그 사람이 다시 김 의원에게 전달했을 수 있다는 것인가?
“모르겠다 솔직히. 언론보도 보고 ‘이것이 조작된 게 아니라면 손 검사가 나한테 보낸 것을 내가 그대로 포워딩(전달)한 것 같아요’ 하면 난 아무 문제가 없다. 그렇지 않나. 나한테 보낸 걸 내가 당에다 전달했는데, 내가 그것을 가지고 고발에 나선 것도 아니고, 문제제기를 한 것도 아니고.”
―검사가 보낸 것을 당에 전달하면 문제 아닌가?
“반대로 생각하면 누가 나한테 자료 보냈는데 내가 ‘아 이거는 (문제가 되기 때문에) 전달하면 안 돼’라고 판단해서 전달을 안하면 오히려 문제가 된다. 자료를 보낸 쪽에서 ‘김웅한테 자료를 보냈는데, 김웅이 누군가를 보호하기 위해 자료를 중간에서 전달하지 않았다고 하면 나는 뭐라고 해야 하나. (그래서) 일단 자료가 오면 나는 무조건 당에 전달하는 거다.”
―텔레그램에 기록된 ‘손준성 보냄’이라는 대목은 손 검사가 누군가에게 전달한 자료를 다시 전달받았을 수도 있다는 것인가?
“그럴 수도 있고. 예를 들어서 손 검사가 저렇게 부인하고 있는데, 내가 ‘그 자료를 손 검사한테 받아서 보낸 것 같습니다’라고 한다면 윤석열 후보 캠프에서 뭐라고 할 것 같은가. ‘너 그걸 그 자료를 손 검사한테 받았다는 증거를 밝혀라’라고 하면 내가 댈 증거가 없다. 이와 관련해서 정말 기억나는 게 없다.”
―최강욱 대표 고발장은 직접 쓴 게 아니다?
“(이달 초 언론 인터뷰 때) 내가 최 대표 고발장을 작성해서 보낸 것 같다고 했는데, 나중에 확인해보니 당시(지난해 4월) 당(법률지원단)에서 고발을 안 했더라. 한참 뒤인 그해 8월에 다른 팀에서 고발했는데 거기에는 내가 관여를 안 했다.”
―손 검사가 전달했다고 의혹이 이는 고발장 2건 가운데 최 대표 고발장이 지난해 8월 미래통합당이 그를 고발할 때 작성한 고발장과 유사하다.
“내가 (지난해 4월에) 고발 사주를 받았다면, 그때 고발을 해야 했던 것 아닌가. 그런데 누가 어떤 형태로 그것(고발장)을 우리 당에 전달했는지 모르겠지만, (8월 고발에) 나는 전혀 개입한 바가 없다. 내가 그런 고발장을 쓴 적이 전혀 없다.”
―앞서 최 대표 고발장 초안을 잡아줬다고 했는데, 초안을 문서로 작성했나?
“문서까지 쓴 건 아니고 종이에 글로 써준 것 같다. 손으로 써서, 낙서하듯이 써서 보냈다. 그러니까 실제로 최 대표를 고발한 사람은 내가 초안을 써 준 사람과 다른 사람이다. 일면식은 없지만 변호사로 알고 있다.”
―최 대표 공직선거법 위반 고발장 초안 작업 때 손 검사와 이야기한 것 없나?
“없다. 왜냐면 선거법은 내가 더 전문가다. 준성이는 기획통이라서 선거법에 대해선 잘 모른다. 그 친구한테 내가 뭐하러 물어보겠나. 내가 더 잘 아는데.”
―손 검사가 부인하는 상황인데, 텔레그램에 ‘손준성 보냄’이라고 표기돼 있어서, 그렇다면 이 자료를 다른 이에게 보냈을 거 아닌가?
“그것은 나도 모르는 상황이다. 내가 알 수 있는 상황도 아니다.”
―연수원 동기인데 물어볼 수 있는 것 아닌가?
“내가 만약 (손 검사에게) 연락을 하면 ‘김웅하고 손 검사하고 말맞춘다’라고 또 엮인다. 그래서 손 검사와는 연락하면 안 된다.”
―고발장 조작 가능성은?
“솔직히 언론에서 이런 것까지 조작할 가능성은 없다고 본다.”
―고발장 형식을 보면, 검찰이 쓴 것 같다는 지적이 나오는데.
“내가 작성하는 스타일은 아닌 것 같다. 수준으로 봐서는 검사가 쓴 것 같지도 않고. 일반적으로 로펌 나온 변호사들이 다 쓸 수 있는 수준이다.”
―핸드폰에 손 검사 이름은 뭘로 저장돼 있나?
“확인해 보겠다. 어, 저장이 안 돼 있다. 핸드폰 바꾸면서 저장이 안됐을 수 있다. ‘손준성 검사’라고 해놓았던 것 같다. 검사들은 모두 ‘OOO 검사’라고 저장하니까.”
―아는 사람 중에 손준성이라는 이름이 또 있나?
“핸드폰에 저장된 게 없다.”

이주빈 기자 yes@hani.co.kr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