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켓인]어피너티, 요기요 인수하고 버거킹 매각..왜

김성훈 2021. 9. 6. 23:4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요기요 새 주인에 이름을 올린 외국계 경영참여형 사모펀드 운용사(PEF) 어피너피에쿼티파트너스(어피너티)가 보유 매물인 버거킹 매각에 나서 업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6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어피너티는 한국 및 일본 버거킹 매각 절차에 돌입했다.

매각 대상은 어피너티가 보유한 한국 버거킹(법인명 비케이알) 지분 100%와 일본시장 내 버거킹 매장 운영권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요기요 인수에도 버거킹 매각 작업 눈길
꾸준한 매출 증가 이면에 영업익 '발목'
다가오는 펀드 만기시점도 매각 부채질
"마케팅 포화..요기요 효과 없어" 관측도

[이데일리 김성훈 기자] 요기요 새 주인에 이름을 올린 외국계 경영참여형 사모펀드 운용사(PEF) 어피너피에쿼티파트너스(어피너티)가 보유 매물인 버거킹 매각에 나서 업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국내 2위 배달앱 서비스 인수로 버거킹 실적 개선에 도움이 될 것으로 점쳤지만 아이러니하게도 버거킹을 팔 계획에 나섰기 때문이다.

넘쳐나는 유동성에 내놓는 인수합병(M&A) 매물마다 새 주인을 찾는 현 시점을 매각 적기로 판단했다는 게 업계의 관측이다. 매출은 해마다 늘고 있지만 영업이익이 크게 꺾인데다 부채마저 인수 이후 5배 가까이 불어난 상황에서 흡족한 결과를 이끌어낼 지가 관건이다.
어피너피에쿼티파트너스(어피너티)가 보유 매물인 버거킹 매각에 나서 업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버거킹 축석휴게소점(사진=버거킹)
6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어피너티는 한국 및 일본 버거킹 매각 절차에 돌입했다. 매각 대상은 어피너티가 보유한 한국 버거킹(법인명 비케이알) 지분 100%와 일본시장 내 버거킹 매장 운영권이다.

어피너티는 지난 2014년 조성한 4조8000억원 규모 아시아 4호펀드를 밑 자금으로 2016년 한국 버거킹 지분 100%를 2100억원에 인수했다. 이듬해에는 버거킹 글로벌 브랜드를 소유한 캐나다 레스토랑브랜즈인터내셔널(RBI)과 일본 내 버거킹의 매장 신설과 관리, 상품 개발 등 운영권을 총괄하는 ‘마스터 프랜차이즈’ 계약을 체결했다.

버거킹은 어피너티 품에 안긴 후 꾸준한 매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한국기업평가에 따르면 버거킹의 지난해 매출은 5713억원으로 전년 대비 13.6% 늘었다. 인수한 해인 2016년(2531억원)과 비교하면 2.25배 증가한 수치다. 올해 1분기 기준 국내 매장 수도 411곳으로 맥도날드(404개)를 넘어섰다.

그런데 실속 지표로 꼽히는 영업이익으로 눈을 돌리면 얘기가 달라진다. 지난해 버거킹 영업익은 81억원으로 전년 대비 54.9%나 줄었다. 당기순이익도 43억원 손실로 2017년 이후 3년 만에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2016년 영업익(107억원)과 비교해도 25% 가까이 줄어든 수치다.

같은 기간 부채는 차곡차곡 늘고 있다. 버거킹의 부채 총계는 2016년 690억원에서 지난해 3336억원으로 4.8배나 늘었다. 매출이 두 배 넘게 늘었지만 수익성은 도리어 꺾이고 부채도 매출 추이만큼 늘어난 셈이다.
[그래픽=이데일리 이미나 기자]
상황이 이렇다 보니 수익성 개선에 깐깐한 PEF를 대상으로 하는 세컨더리(PEF가 보유한 매물을 PEF가 사는 것)딜은 사실상 쉽지 않을 것이라는 얘기가 나온다. 한 PEF 업계 관계자는 “모두라고 할 수는 없지만 최근 경향이 전략적투자자(SI) 외에는 식음료 매물에 큰 관심을 두진 않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또 하나 흥미로운 점은 요기요 인수 직후 버거킹 매각을 타진하고 있다는 점이다. 배달앱 인수에 따른 수익성 개선에 박차를 가할 수 있는 시점에서 선뜻 이해가 가지 않는 대목이다.

업계에서는 2014년 조성한 펀드 만기 시점이 다가온다는 점을 이유로 꼽는다. 매각 시점을 더 미루다 펀드 엑시트(자금회수) 시점과 맞물리면 더 궁지에 몰릴 수 있다는 것이다. 일각에서는 최근 공격적인 할인 쿠폰을 뿌리며 매출을 끌어올린 상황에서 요기요 인수 시너지가 사실상 없을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현재도 배달앱 서비스로 공격적인 마케팅을 펼치고 있는 상황에서 더 큰 시너지가 날지는 의문”이라며 “수익성 지표가 꺾인 상황에서 원하는 가격에 매각을 이끌어낼 수 있을지 지켜봐야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성훈 (sk4he@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