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금'에만 안주하다 '역풍'..신작 앞세워 '약진'

김기태 기자 2021. 8. 29. 21:0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오랫동안 굳어진 국내 게임 시장의 판도가 흔들리고 있습니다.

대장 주로 군림해 온 넥슨과 넷마블, 엔씨소프트가 게임에 돈을 쓰게 하는 시스템에만 의존하는 사이, 새로운 강자들이 신작을 앞세워 떠오르고 있습니다.

게임 업계 '3N' 엔씨소프트와 넥슨, 넷마블의 실적이 부진한 것은 개발자 확보 경쟁으로 인한 인건비 상승도 원인이지만, 투자와 혁신보다 익숙한 '과금'에만 치중한 시스템이 위기를 불러왔다는 지적입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오랫동안 굳어진 국내 게임 시장의 판도가 흔들리고 있습니다. 대장 주로 군림해 온 넥슨과 넷마블, 엔씨소프트가 게임에 돈을 쓰게 하는 시스템에만 의존하는 사이, 새로운 강자들이 신작을 앞세워 떠오르고 있습니다.

김기태 기자입니다.

<기자>

엔씨소프트가 최근 출시한 '블레이드 앤 소울 2', 시장의 반응은 냉담했습니다.

과도한 과금 유도로 불매 운동까지 겪은 대표 게임 '리니지'와 큰 변화가 없다는 평가입니다.

출시 후 이틀 동안 엔씨 주가는 21% 넘게 급락해 시가총액 3조 9천억 원이 증발했습니다.

반면, 펄어비스가 내놓은 신작 '도깨비'는 메타버스 세계관을 구축한 그래픽으로 시장의 기대가 쏟아졌고, 주가는 신고가를 경신했습니다.

'오딘'을 앞세운 카카오게임즈, '배틀그라운드'의 크래프톤, '미르 4'의 위메이드 등이 약진하고 있습니다.

게임 업계 '3N' 엔씨소프트와 넥슨, 넷마블의 실적이 부진한 것은 개발자 확보 경쟁으로 인한 인건비 상승도 원인이지만, 투자와 혁신보다 익숙한 '과금'에만 치중한 시스템이 위기를 불러왔다는 지적입니다.

[위정현/한국게임학회장 : 메이저 게임사의 보수화라고 볼 수 있습니다. 게임을 공격적으로 개발하지 않고 확률형 아이템을 기반으로 유저들을 쥐어짜는, 그게 안정적인 비즈니스 모델이고 가장 쉬운 길이거든요.]

게임 셧다운제가 10년 만에 폐지되고 구글과 애플의 수수료 규제법안 마련 등 게임 업계를 둘러싼 환경은 우호적입니다.

국내 시장에 만족하지 않는 글로벌 진출, 차별화된 콘텐츠와 기술력이 성패를 가를 전망입니다.

(영상편집 : 박진훈)   

김기태 기자KKT@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