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 공복에 물 한 잔.. 몸에 나타나는 '놀라운 변화'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아침에 일어나 잠에서 깨기 위해 습관처럼 물을 마시는 사람들이 있다.
또 노폐물을 효과적으로 배출한다.
물의 온도는 체온보다 약간 낮은 30도 전후의 미지근한 정도가 적당하다.
또 찬물을 마시면 우리 몸이 정상 체온으로 올리는 데 불필요한 에너지를 쓰게 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아침에 일어나 잠에서 깨기 위해 습관처럼 물을 마시는 사람들이 있다. 그런데 이렇게 아침 공복에 물을 마시는 행위는 각종 건강 효과를 가져온다.
우선 심근경색, 뇌경색 위험을 줄인다. 자는 동안 땀, 호흡으로 인해 수분이 방출돼 점도가 높아진 혈액을 묽게 만들기 때문이다. 또 노폐물을 효과적으로 배출한다. 혈액과 림프액 양이 늘어나면서 몸속 노폐물이 원활히 이동하는 것이다. 배변에도 도움을 준다. 위장을 움직이게 하는 위대장 반사(gastro- colic reflux)를 일으키기 때문이다. 만성 탈수 예방에도 좋다. 특히 어르신의 경우 항이뇨호르몬 분비가 저하돼 만성 탈수 상태인 경우가 많은데, 자는 동안 수분 공급이 안 되면서 탈수가 더 심해진다. 기상 직후 물을 마시면 탈수를 막고 신진대사·혈액 순환을 촉진시킬 수 있다.
물의 온도는 체온보다 약간 낮은 30도 전후의 미지근한 정도가 적당하다. 찬물을 마시면 자율신경계를 과도하게 자극해 부정맥 등 심장 이상이 생길 수 있다. 또 찬물을 마시면 우리 몸이 정상 체온으로 올리는 데 불필요한 에너지를 쓰게 된다. 특히 고령자나 허약자는 기초 대사량이 떨어져 시원한 물을 마시면 체온이 더 감소하고, 위장 혈류량이 떨어져 소화액 분비 저하 등이 생길 수 있다.
물은 벌컥벌컥 마시기보다 천천히 마시자. 고혈압이 있으면서 뇌동맥류나 뇌출혈을 경험한 환자는 물을 빨리 마시면 뇌 혈류량이 갑자기 증가해 뇌혈관이 터지는 등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적어도 5분 이상 시간을 두고 천천히 물을 마시는 게 안전하다.
- Copyrights 헬스조선 & HEALTH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헬스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건강잇숏]공복에 먹으면 안 되는 음식이 있다?
- 한 해 비용 2천조 원 '비만'… 공복식사로 탈출하자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 ‘아침 공복 물 한 잔’, 정말 변비에 좋을까?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 공복에 받은 건강검진, 이후 뭘 먹어야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 한 달간 ‘매일’ 5km씩 러닝… 20대 男 직접 고백한 ‘신체 변화’는?
- 김지호, 과식 후엔 ‘이것’ 100회 꼭… 다이어트에 탁월?
- “주사 주위 퉁퉁, 얼굴 기형까지”… 불법으로 ‘이것’ 했다가 낭패, 무슨 일?
- "자궁에 있던 종양, 왜 저기로"… 뜬금없는 곳에 22cm 전이암, 60대 여성에게 무슨 일?
- 비싼 화장품 바르면 뭐 하나… ‘이것’ 안 하면 효과 도루묵
- ‘먹은 만큼 운동한다’는 생각, 病의 시초일 수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