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근 고려대 교수팀, '자기메모리' 핵심 소재 개발

정지형 기자 2021. 8. 24. 09:0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김영근 고려대 공과대학 신소재공학부 교수 연구팀이 차세대 자기메모리(MRAM) 핵심 소재로 사용될 수 있는 고효율 스핀류 전환 소재를 개발했다.

텅스텐을 바나듐(Vanadium)과 합금화를 유도한다면 높은 스핀류 전환 효율을 보일 수 있다는 임성현 울산대 교수 연구팀의 제일원리 이론 계산결과에 기반해 텅스텐-바나듐 합금을 제작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텅스텐-바나듐 합금 제작해 효율 40% 이상 개선
고려대학교 전경(고려대 제공) © 뉴스1

(서울=뉴스1) 정지형 기자 = 김영근 고려대 공과대학 신소재공학부 교수 연구팀이 차세대 자기메모리(MRAM) 핵심 소재로 사용될 수 있는 고효율 스핀류 전환 소재를 개발했다.

24일 고려대에 따르면, 연구진은 현재 반도체 공정에서 배선 플러그에 사용 중인 텅스텐(Tungsten)에 주목했다.

텅스텐을 바나듐(Vanadium)과 합금화를 유도한다면 높은 스핀류 전환 효율을 보일 수 있다는 임성현 울산대 교수 연구팀의 제일원리 이론 계산결과에 기반해 텅스텐-바나듐 합금을 제작했다.

텅스텐-바나듐 합금은 기존 텅스텐 단일박막 대비 스핀류 전환 효율이 약 40% 이상 개선된 결과를 보였다.

스핀류(spin current)는 전하의 흐름을 뜻하는 전류와 같은 맥락에서 스핀의 흐름을 의미한다.

자기메모리에서는 스핀류를 이용해 자성층의 자화방향을 제어하게 되는데, 학계에서는 주입한 전류를 이용해 높은 효율로 스핀류를 만들어낼 수 있는 소재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김 교수 연구팀은 "한국을 포함해 미국과 유럽, 일본에서 특허를 확보해 차세대 자기메모리 소자 개발 경쟁에서 앞서 나갈 수 있는 기틀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한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원천기술개발사업 지원으로 수행된 이번 연구의 성과는 네이처 퍼블리싱 그룹(NPG)의 국제학술지 '엔피지 아시아 머티리얼즈'에 지난 20일 게재됐다.

kingkong@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