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근 고려대 교수팀, '자기메모리' 핵심 소재 개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김영근 고려대 공과대학 신소재공학부 교수 연구팀이 차세대 자기메모리(MRAM) 핵심 소재로 사용될 수 있는 고효율 스핀류 전환 소재를 개발했다.
텅스텐을 바나듐(Vanadium)과 합금화를 유도한다면 높은 스핀류 전환 효율을 보일 수 있다는 임성현 울산대 교수 연구팀의 제일원리 이론 계산결과에 기반해 텅스텐-바나듐 합금을 제작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뉴스1) 정지형 기자 = 김영근 고려대 공과대학 신소재공학부 교수 연구팀이 차세대 자기메모리(MRAM) 핵심 소재로 사용될 수 있는 고효율 스핀류 전환 소재를 개발했다.
24일 고려대에 따르면, 연구진은 현재 반도체 공정에서 배선 플러그에 사용 중인 텅스텐(Tungsten)에 주목했다.
텅스텐을 바나듐(Vanadium)과 합금화를 유도한다면 높은 스핀류 전환 효율을 보일 수 있다는 임성현 울산대 교수 연구팀의 제일원리 이론 계산결과에 기반해 텅스텐-바나듐 합금을 제작했다.
텅스텐-바나듐 합금은 기존 텅스텐 단일박막 대비 스핀류 전환 효율이 약 40% 이상 개선된 결과를 보였다.
스핀류(spin current)는 전하의 흐름을 뜻하는 전류와 같은 맥락에서 스핀의 흐름을 의미한다.
자기메모리에서는 스핀류를 이용해 자성층의 자화방향을 제어하게 되는데, 학계에서는 주입한 전류를 이용해 높은 효율로 스핀류를 만들어낼 수 있는 소재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김 교수 연구팀은 "한국을 포함해 미국과 유럽, 일본에서 특허를 확보해 차세대 자기메모리 소자 개발 경쟁에서 앞서 나갈 수 있는 기틀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한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원천기술개발사업 지원으로 수행된 이번 연구의 성과는 네이처 퍼블리싱 그룹(NPG)의 국제학술지 '엔피지 아시아 머티리얼즈'에 지난 20일 게재됐다.
kingkong@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헌재에 가스통 들어갔다…尹 탄핵 기각 대비 폭발 테러" 지지자들 음모론
- 데프콘 "지드래곤이 준 샤넬 가방 '짝퉁'…매장 갔다가 X망신"
- "신혼집 해오는 남친, 하반신 장애 여동생도 같이 살자더라"[이 결혼 OX]
- 아내가 던진 양주병 맞아 '부동산 1타강사' 남편 숨져
- 신상 털린 사이버레커 뻑가 "잃을 거 없다, 수익도 막혔고 총력 다해 맞설 것"
- '한지민 쌍둥이 역' 다운증후군 정은혜 작가, 5월 결혼 "나 좋다고 고백"
- 정지선 "기계에 손 끼어 검지 두동강…30바늘 꿰매고도 일한다고 고집"
- 예비신부 20대 교사, 2.6억 사기당해…"하늘이 사건에 정신과도 못간다" 호소
- '동성 결혼' 샘 올트먼 득남…"이런 사랑 느껴본 적 없어"
- 토니안 "정신과 약·술 함께 먹고 머리로 거울 깨…귀 자르고 피 흥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