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중증은 40~50대, 사망은 60대 이상이 많다

조동찬 기자 2021. 8. 23. 20:1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코로나 4차 대유행 이후 위중증 환자와 사망자는 빠르게 늘고 있습니다.

위중증 환자는 4~50대에, 사망자는 60세 이상에서 가장 많아 고령층과 청장년층 고위험군 관리에 집중해야 할 때입니다.

전체 환자는 2·30대가, 위중증 환자는 4·50대에서 가장 많아 3차 유행과 달라졌지만, 사망자는 3차 유행 때처럼 60세 이상에서 가장 많았습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코로나 4차 대유행 이후 위중증 환자와 사망자는 빠르게 늘고 있습니다. 위중증 환자는 4~50대에, 사망자는 60세 이상에서 가장 많아 고령층과 청장년층 고위험군 관리에 집중해야 할 때입니다.

조동찬 의학전문기자입니다.

<기자>

40대 박 모 씨는 지난달 코로나 19 확진 판정을 받았습니다.

생활치료센터 배정도 받기 전에 상태가 급격히 악화해 위중증 환자로 분류됐습니다.

[40대 위중증 환자 : 서울에 올라오는 도중에 열이 점점 올라가고, 호흡이 좀 가빠져서, 서울 국립 중앙 의료원으로 (곧바로) 갔습니다.]

평소 건강한 사람은 위중증에 빠지더라도 초기 산소 치료를 받으면 잘 낫습니다.

[40대 위중증 환자 : (입원치료) 5일쯤 지나고 아침에 눈을 떴는데, 정말 그 평소 상태로 정확하게 돌아와 있었습니다. 혈압, 맥박, 뭐 전부 다 정상 수치였습니다.]

4차 대유행이 시작한 뒤 최근 5주간 분석 결과입니다.

전체 환자는 2·30대가, 위중증 환자는 4·50대에서 가장 많아 3차 유행과 달라졌지만, 사망자는 3차 유행 때처럼 60세 이상에서 가장 많았습니다.

백신 접종 여부로 보면 위중증 환자와 사망자 중 미 접종자가 91.3%로 가장 많았고, 1차 접종자 8.1%, 접종 완료자는 0.6%에 불과했습니다.

1차 접종만으로도 위중증, 사망 예방 효과가 꽤 있는 걸로 보입니다.

그러나, 연령대별로 보면 다릅니다.

60세 미만에서는 위중증 환자와 사망자 중 1차 접종자가 1.2%에 불과하지만, 60세 이상에서는 14.6%로 10배 넘게 뛰었습니다.

고위험군인 고령층의 2차 접종을 서둘러야 한다는 얘기입니다.

[방지환/국립중앙의료원 중앙임상위원회 : 백신을 한 번만 맞으면 효과가 좀 떨어지고 두 번 정도 맞는 게 좋은데, 고위험군들 2차 접종을 좀 서둘러서 해야 합니다.]

50대 이하 청장년층 중에서는 당뇨병, 비만, 천식 등 기저질환이 있을 때 위험성이 높습니다.

1명의 위중증 환자에게 투입되는 의료인력은 경증 환자 10명보다 많습니다.

위중증 환자를 줄여야 의료체계가 제대로 작동할 수 있습니다.

(영상편집 : 이승진, CG : 강윤정·서현중)    

▷ 40대 이하 26일부터 접종…내년 9천만 회분 구매
[ 원문 링크 : https://news.sbs.co.kr/d/?id=N1006439435 ]
▷ 주말이라 줄었지만…개학 · 휴가 복귀 변수 
[ 원문 링크 : https://news.sbs.co.kr/d/?id=N1006439431 ]

조동찬 기자dongcharn@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