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자는 더 부자됐다..선명해진 자산 양극화

손승욱 기자 2021. 8. 18. 20:5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코로나19로 인한 양극화 문제를 짚어보는 연속 보도, 오늘(18일)은 '자산 양극화' 문제를 살펴봅니다.

코로나 이후 부동산이나 주식 투자로 고소득층의 자산은 크게 늘면서 빈부격차는 더 심해졌는데, 어떤 해결책이 있는지, 손승욱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김현섭/KB증권 도곡스타PB센터 : 코로나 이후에 주식 자산 가격뿐만 아니고 부동산 자산 가격도 많이 급등하지 않았습니까? 자산 가격은 더 높아진 것 같습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코로나19로 인한 양극화 문제를 짚어보는 연속 보도, 오늘(18일)은 '자산 양극화' 문제를 살펴봅니다.

코로나 이후 부동산이나 주식 투자로 고소득층의 자산은 크게 늘면서 빈부격차는 더 심해졌는데, 어떤 해결책이 있는지, 손승욱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한 자산가를 만나 코로나 이후 고소득자들 얘기를 들어봤습니다.

[김○○/자산가(서울 강남구 거주) : 자동차를 바꾸고… 차도 이제 좀 더 고급스러운 거로, 롤스로이스나 벤틀리나, 이제 람보르니기나…]

실제로 코로나 이후 최고급 차 매출은 많이 늘었습니다.

[김○○/자산가(서울 강남구 거주) : 해외 부동산보다는 오히려 최근에는 고급 리조트들.. 남들이랑 같이 쉐어해서 쓰지 않는, (빌라 한 채에) 한 20억 원 정도 한다라고 하더라고요.]

소득은 크게 그대로인데 주식이나 부동산으로 자산이 증가한 경우가 많다고 했습니다.

[김○○/자산가(서울 강남구 거주) : 아파트값도 많이 올랐고, 갖고 있는 자산들이 많이 올랐기 때문에…]

실제로 수도권 아파트 가격은 올 들어 11%, 지난 1년간 14% 올랐습니다.

강남의 한 유명 PB센터에도 비슷한 얘기를 들을 수 있었습니다.

[김현섭/KB증권 도곡스타PB센터 : 코로나 이후에 주식 자산 가격뿐만 아니고 부동산 자산 가격도 많이 급등하지 않았습니까? 자산 가격은 더 높아진 것 같습니다.]

SBS 여론 조사 결과를 보면 월 소득 700만 원 이상인 고소득자들의 경우 코로나에도 불구하고, 소득이 늘었거나, 혹은 별 변화 없다고 답한 비율이 80%를 넘었습니다.

어떻게 자산을 늘렸나 물어봤더니 첫째가 부동산, 둘째가 소득 증가, 셋째가 주식과 코인이었습니다.

반면 저소득층은 소득도 줄고 지출도 늘면서 삶이 더 어려워졌다는 답변이 많았습니다.

빈부 격차가 더 커졌다는 응답은 80% 가까이 됐습니다.

그런데 더 답답한 건 이 빈부격차를 좁히기가  쉽지 않다는 겁니다.

서울 서초구의 한 일본 음식점.

이 가게 사장님은 코로나 이후 8천만 원 넘는 빚을 졌습니다.

[김정회 대표/일본 음식점 : 4단계 다시 시작하면서 이번에 또 (손님 숫자가) 반타작이 난 거죠. (빚 8천만 원은 다?) 없죠. 이제 다 나간 거죠. 뭐 한 달에 거의 7백만에서 8백만 원씩 마이너스…]

전문가들이 양극화 해소 문제에서 우려하고 있는 게 바로 이 가계 부채입니다.

[김광석 교수/한양대 국제대학원 : (가계부채 때문에) 쓰러지는 가구, 부실 위험에 처하는 가구, 심각한 삶의 질 문제가 훼손되는 수준까지 연결될 수 있는 지점이 2021년 3, 4분기다라고 생각합니다.]

부동산 가격 상승 역시 양극화 해소의 큰 걸림돌입니다.

[나원준 교수/경북대 경제학과 : 자산 격차의 문제는 결국은 주택의 문제거든요. (양극화를 줄이려면) 부동산 시장 안정화에 기본적인 노력을 해야 한다.]

양극화가 심해질수록 경제 전체의 활력이 떨어지고 그 피해가 모두에게 돌아가는 만큼, 증세와 복지 확대를 포함한 다양한 양극화 대책을 서둘러 내놓아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합니다.

(영상취재 : 김현상·이승환·김태훈, 영상편집 : 정영삼, VJ : 정한욱, 작가 : 이미선·이지율·이수빈, CG : 홍성용·최재영·성재은·정시원·안지현)   

▶ [SBS 2021 코로나 기획 여론조사] 통계표 내려받기  
[ https://datanews.sbs.co.kr/pds/202108/%5B%ED%86%B5%EA%B3%84%ED%91%9C%5D%20SBS_2021%20%EC%BD%94%EB%A1%9C%EB%82%98%20%EA%B8%B0%ED%9A%8D%20%EC%97%AC%EB%A1%A0%EC%A1%B0%EC%82%AC.pdf ]

※ 이 기사는 한국언론진흥재단의 정부광고 수수료를 지원받아 제작되었습니다.

손승욱 기자ssw@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