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관리 생활치료센터 15곳 모두 의사 수 기준 미달
조응형기자 2021. 8. 17. 21:15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경증 또는 무증상 환자들이 입소하는 생활치료센터의 의료 인력이 보건복지부의 지침에 크게 미달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최근 인천의 한 생활치료센터에서 50대 여성이 폐렴을 앓다 사망한 것과 관련해서도 의료 인력이 부족해 입소자 관리가 미흡했던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 서울 15곳 모두 의사 수 기준 미달
17일 동아일보가 서울시가 관리하는 생활치료센터 15곳의 입소자 및 의료 인력 규모를 확인한 결과 기준에 모두 못 미쳤다. 보건복지부의 생활치료센터 운영지침에 따르면 입소자 정원이 100~200명 경우 의사 5~7명이 있어야 한다. 200~300명인 곳에는 의사 7~11명을 배치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입소자가 100~200명인 센터 5곳, 200~300명인 센터 6곳 모두 의사는 4명만 배치돼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시에 있는 생활치료센터 5곳도 모두 권장 수준 미만이었다. 입소 8일 만에 폐렴으로 숨진 정모 씨(58)가 머물렀던 연수구 생활치료센터의 경우는 정원이 320명으로 가장 많았지만 의사는 1명에 불과했다. 사망 당시에는 센터 내에 의사가 아예 없었다. 사망 전날인 8일 오후 11시 41분경 간호사가 체온 확인을 위해 정 씨에게 전화했을 때 전화를 받지 않았지만 추가 연락 시도나 병실 방문 등 조치는 없었다고 한다. 정 씨의 유가족은 “4일째 폐렴을 앓는 환자가 밤에 연락을 안 받으면 의사가 가봐야 하는 것 아니냐”며 분통을 터트렸다.
생활치료센터 입소해 있는 환자들 사이에선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서울의 한 생활치료센터에 입소해 있는 직장인 박모 씨(39)는 “집에 있다면 응급 상황에 119라도 부르겠지만 외부와 차단된 생활치료센터에선 이곳 의료진을 믿을 수밖에 없다”며 “언제 상태가 악화될지 모르는데 의사가 없어 제때 치료받지 못할까봐 불안하다”고 했다.
생활진료센터에서는 코로나19 확산을 우려해 전화 통화 등으로 환자 상태를 점검하는데 관리가 취약했다는 의견도 많다. 6월 서울 종로의 생활치료센터에 입소했던 직장인 B 씨(34)는 “간호사의 전화를 못 받은 적이 있는데 방에 오지는 않고 한참 뒤 다시 전화가 왔다. 내가 간호사에게 전화를 걸었을 땐 통화 중일 때가 많았다. 혼자 방을 썼는데 내가 갑자기 정신을 잃으면 어떡하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고 했다. 인천 생활진료센터에 있는 김모 씨(63)는 “하루에 한두 번 카카오톡 메시지로 몸 상태를 체크해 보내는 게 진료의 전부였다”고 말했다.
● “의사 수 늘지 않으면 대면 진료 어려워”
비대면 진료 및 간호가 원칙인 생활치료센터는 정확한 진단에 한계가 있을 수 있다는 게 의료인들의 설명이다. 지난해 초부터 줄곧 생활치료센터에서 근무한 한 의료인 C 씨는 “환자가 스스로 몸 상태를 파악해 의료진에게 전달해야 하는데, 정확한 전달이 안 될 수 있다. 몸 상태가 악화되면 짧게는 수분 내로 의식이 흐려지기도 하는데 이런 경우 의료진에게 미처 연락을 못하고 위험한 상황에 이를 수 있다”고 말했다.
생활치료센터에 배치된 의사들은 역학조사서를 바탕으로 환자를 분류하는 업무까지 맡고 있어 대면 진료는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고 한다. C 씨는 “하루에도 수십 명의 환자를 역학조사서만 보고 생활치료센터에 입소시킬지, 상급 병원에 입원을 시킬지를 판단해야 한다. 인력이 부족하다보니 격무에 시달리고, 대면 진료가 안 되다보니 이 과정에서 정확한 판단이 안 될 수 있다. 센터 내 환자들에게 하루 한 번이라도 대면 진료가 가능하려면 의사 수가 늘지 않고는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라고 말했다.
복지부 관계자는 “최근 확진자 급증으로 4차 대유행 이전에 비해 생활치료센터 정원이 3배 이상 늘어났다. 일선 병원에서도 인력 부족을 호소하고 있어 센터에 인력을 늘리는 데 한계가 있다”고 설명했다.
● 서울 15곳 모두 의사 수 기준 미달
17일 동아일보가 서울시가 관리하는 생활치료센터 15곳의 입소자 및 의료 인력 규모를 확인한 결과 기준에 모두 못 미쳤다. 보건복지부의 생활치료센터 운영지침에 따르면 입소자 정원이 100~200명 경우 의사 5~7명이 있어야 한다. 200~300명인 곳에는 의사 7~11명을 배치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입소자가 100~200명인 센터 5곳, 200~300명인 센터 6곳 모두 의사는 4명만 배치돼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시에 있는 생활치료센터 5곳도 모두 권장 수준 미만이었다. 입소 8일 만에 폐렴으로 숨진 정모 씨(58)가 머물렀던 연수구 생활치료센터의 경우는 정원이 320명으로 가장 많았지만 의사는 1명에 불과했다. 사망 당시에는 센터 내에 의사가 아예 없었다. 사망 전날인 8일 오후 11시 41분경 간호사가 체온 확인을 위해 정 씨에게 전화했을 때 전화를 받지 않았지만 추가 연락 시도나 병실 방문 등 조치는 없었다고 한다. 정 씨의 유가족은 “4일째 폐렴을 앓는 환자가 밤에 연락을 안 받으면 의사가 가봐야 하는 것 아니냐”며 분통을 터트렸다.
생활치료센터 입소해 있는 환자들 사이에선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서울의 한 생활치료센터에 입소해 있는 직장인 박모 씨(39)는 “집에 있다면 응급 상황에 119라도 부르겠지만 외부와 차단된 생활치료센터에선 이곳 의료진을 믿을 수밖에 없다”며 “언제 상태가 악화될지 모르는데 의사가 없어 제때 치료받지 못할까봐 불안하다”고 했다.
생활진료센터에서는 코로나19 확산을 우려해 전화 통화 등으로 환자 상태를 점검하는데 관리가 취약했다는 의견도 많다. 6월 서울 종로의 생활치료센터에 입소했던 직장인 B 씨(34)는 “간호사의 전화를 못 받은 적이 있는데 방에 오지는 않고 한참 뒤 다시 전화가 왔다. 내가 간호사에게 전화를 걸었을 땐 통화 중일 때가 많았다. 혼자 방을 썼는데 내가 갑자기 정신을 잃으면 어떡하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고 했다. 인천 생활진료센터에 있는 김모 씨(63)는 “하루에 한두 번 카카오톡 메시지로 몸 상태를 체크해 보내는 게 진료의 전부였다”고 말했다.
● “의사 수 늘지 않으면 대면 진료 어려워”
비대면 진료 및 간호가 원칙인 생활치료센터는 정확한 진단에 한계가 있을 수 있다는 게 의료인들의 설명이다. 지난해 초부터 줄곧 생활치료센터에서 근무한 한 의료인 C 씨는 “환자가 스스로 몸 상태를 파악해 의료진에게 전달해야 하는데, 정확한 전달이 안 될 수 있다. 몸 상태가 악화되면 짧게는 수분 내로 의식이 흐려지기도 하는데 이런 경우 의료진에게 미처 연락을 못하고 위험한 상황에 이를 수 있다”고 말했다.
생활치료센터에 배치된 의사들은 역학조사서를 바탕으로 환자를 분류하는 업무까지 맡고 있어 대면 진료는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고 한다. C 씨는 “하루에도 수십 명의 환자를 역학조사서만 보고 생활치료센터에 입소시킬지, 상급 병원에 입원을 시킬지를 판단해야 한다. 인력이 부족하다보니 격무에 시달리고, 대면 진료가 안 되다보니 이 과정에서 정확한 판단이 안 될 수 있다. 센터 내 환자들에게 하루 한 번이라도 대면 진료가 가능하려면 의사 수가 늘지 않고는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라고 말했다.
복지부 관계자는 “최근 확진자 급증으로 4차 대유행 이전에 비해 생활치료센터 정원이 3배 이상 늘어났다. 일선 병원에서도 인력 부족을 호소하고 있어 센터에 인력을 늘리는 데 한계가 있다”고 설명했다.
조응형 기자 yesbro@donga.com
인천=공승배 기자 ksb@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동아일보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
- 목에 올가미, 얼굴엔 검은 칠…아프간 거리 행진하는 죄수들 (영상)
- ‘동백꽃 필 무렵’ ‘타짜’ 출연 중견배우 김민경 별세
- “한국도 미군 없으면 아프간 꼴” WP칼럼니스트 SNS 설전
- 환갑 앞둔 주성치, 17세 소녀와 열애설 “첫눈에 반해”
- “분열, 필패의 길”…김태호, 대권 중도 포기 선언
- 韓활동 아프간 출신 모델 “탈레반, 12살 여아와 결혼…희망 없어져”
- “눈매 앙칼져”, “고집 세”…與 대선후보, 측근 ‘보완점 지적’에 답변은?
- 정세균 “10만원 이상 현금사용 금지”…‘현금 없는 경제’ 화폐개혁 공약
- 미군견도 탈출…카불 공항 활주로서 대피 모습 포착
- 바이든 美 대통령, 아프간 사태에 6000억 긴급 지원 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