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채호 선생이 조선족?..中 바이두 엉터리 설명 '수두룩'

김지성 기자 2021. 8. 15. 20:3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단재 신채호 선생은 일제에 굽히기 싫어서 세수할 때도 꼿꼿이 서서 했다고 하지요.

이 신채호 선생을 비롯해 독립운동가 여러 명을 중국 포털사이트에 검색해봤더니, 엉터리 정보가 꽤 많았습니다.

바이두 백과사전에 단재 신채호 선생을 검색하니 조선족으로 나옵니다.

신채호 선생과 마찬가지로 충청남도에서 태어난 윤봉길 의사는 국적이 조선으로 돼 있는데 조선을 누르면 인공기와 함께 북한 설명 사이트가 뜹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단재 신채호 선생은 일제에 굽히기 싫어서 세수할 때도 꼿꼿이 서서 했다고 하지요. 이 신채호 선생을 비롯해 독립운동가 여러 명을 중국 포털사이트에 검색해봤더니, 엉터리 정보가 꽤 많았습니다.

베이징 김지성 특파원입니다.

<기자>

중국의 대표 포털사이트 바이두입니다.

바이두 백과사전에 단재 신채호 선생을 검색하니 조선족으로 나옵니다.

조선족이라는 글자를 클릭하면 중국 내 소수민족인 조선족에 대한 설명이 이어집니다.

신채호 선생과 마찬가지로 충청남도에서 태어난 윤봉길 의사는 국적이 조선으로 돼 있는데 조선을 누르면 인공기와 함께 북한 설명 사이트가 뜹니다.

이처럼 대한민국 독립운동가 50명을 검색해 봤습니다.

신채호, 이봉창, 민영환 등 절반에 가까운 23명은 조선족으로 표기돼 있고, 윤봉길, 안중근 등 6명은 국적이 조선으로 돼 있습니다.

그나마 김구, 안창호, 김좌진 등은 한국 국적으로, 이위종은 한민족으로 돼 있을 뿐입니다.

[서경덕/성신여대 교수 : 작년 말부터 대한민국 대표 독립운동가들의 국적과 민족 오류 표기를 바꾸기 위해서 바이두 측에 계속 항의 메일을 보내고 있는데 이들이 지금 바꾸지 않고 있는 상황입니다.]

바이두 측은 수정할 근거가 부족하다는 입장입니다.

[바이두 관계자 : 참고자료를 제출하면 대조 검토하는데 내용이 맞지 않으면 수정할 수 없습니다.]

이곳은 베이징 진스팡 거리에 있는, 단재 신채호 선생이 중국에서 머물던 집입니다.

선생은 일제 강점기, 민족사관을 수립하는 등 민족의식 고취에 앞장섰습니다.

하루빨리 중국의 역사 왜곡을 바로잡아야 합니다.

(영상취재 : 최덕현·김용우, 영상편집 : 최혜영, CG : 이아름·심수현)      

김지성 기자jisung@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