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도 높이자"..30세 이상 AZ 잔여 백신 접종 가능

남주현 기자 2021. 8. 13. 20:2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최근 의료기관에서 남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이 계속 버려지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자, 정부가 접종 대상을 늘리기로 했습니다.

지금까지는 혹시 모를 부작용 걱정 때문에 50세 이상으로 접종을 제한했었는데 이제는 30대, 또 40대도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맞을 수 있게 한 겁니다.

아스트라제네카 잔여백신 접종 대상을 50세에서 30세 이상으로 확대한 건 4차 유행 상황에서 30·40대도 더 빨리 맞을 수 있게 하겠다는 취지입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최근 의료기관에서 남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이 계속 버려지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자, 정부가 접종 대상을 늘리기로 했습니다. 지금까지는 혹시 모를 부작용 걱정 때문에 50세 이상으로 접종을 제한했었는데 이제는 30대, 또 40대도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맞을 수 있게 한 겁니다.

남주현 기자입니다.

<기자>

아스트라제네카 잔여백신 접종 대상을 50세에서 30세 이상으로 확대한 건 4차 유행 상황에서 30·40대도 더 빨리 맞을 수 있게 하겠다는 취지입니다.

지난달 초 질병관리청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 후, 혈소판 감소성 혈전증이라는 매우 드문 이상반응이 나타날 수 있다며 50세 이상 접종으로 제한했습니다.

[정은경/질병관리청장 (지난달 1일) : 50대부터는 명백하게 위험보다 이득이 높은 점을 감안하여, 접종 권고 연령을 상향하기로 위원회가 결정했습니다.]

그러나 국내에서 1천269만 명이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맞았는데, 3명에게서만 이 혈전증이 나타났고 델타 변이가 주도하는 4차 유행으로 30·40대 접종 시 이득이 더 커졌다는 게 정부 판단입니다.

[정은경/질병관리청장 : 조금 더 접종 속도를 높이기 위해서, 예방접종의 이득과 또 부작용에 대한 설명 등을 충분히 하고 예방접종을 진행하는 것으로 (추진하겠습니다.)]

영국과 일본은 40세 이상부터 프랑스, 이탈리아 등 유럽 일부 국가를 제외하면 18세 이상, 또는 30·40대부터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맞을 수 있습니다.

정부 나름의 이유는 있지만, 여섯 달 동안 접종 연령을 다섯 차례나 바꿔 백신에 대한 신뢰를 훼손했단 비판은 피하기 어렵게 됐습니다.

30세 이상 희망자는 예비명단을 통해서는 오늘(13일)부터 SNS를 통해서 오는 17일부터 아스트라제네카 잔여백신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영상취재 : 김민철, 영상편집 : 김선탁)     

▷ 델타 변이? 돌파 감염? 혈전증?…AZ 백신 따져봤습니다
[ 원문 링크 : https://news.sbs.co.kr/d/?id=N1006429174 ]
▷ 내년 화이자 '3천만+3천만' 계약…"추가 접종 감안"
[ 원문 링크 : https://news.sbs.co.kr/d/?id=N1006429176 ]

남주현 기자burnett@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