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은 핏줄 냉대가 더 힘들다"..160년 유랑 고려인의 눈물

임상범 기자 2021. 8. 12. 21: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일제에 맞서서 독립운동을 하던 사람 가운데는 고려인들도 많이 있었습니다.

강제 이주 정책 때문에 고향을 떠나야 했던 사람들이 많은데, 고려인 독립운동가와 그들의 후손들을 지금 대한민국은 어떻게 대하고 있는지 이 내용 임상범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잊혀진 영웅들..여전히 '이방인의 삶' 고려인

<앵커>

일제에 맞서서 독립운동을 하던 사람 가운데는 고려인들도 많이 있었습니다. 

강제 이주 정책 때문에 고향을 떠나야 했던 사람들이 많은데, 고려인 독립운동가와 그들의 후손들을 지금 대한민국은 어떻게 대하고 있는지 이 내용 임상범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서울 종로의 아파트 단지 한 켠.

신흥무관학교와 고려혁명군을 이끌던 항일 무장투쟁 영웅, 김경천 장군의 집터가 있습니다.

백마 탄 장군으로 이름을 떨치던 김 장군은 일본 첩자란 누명을 쓰고 1942년, 수용소에서 죽음을 맞았습니다.

복권은 됐지만 유해는 행방조차 알 수가 없습니다.

[김올가/김경천 장군 증손녀 : 실제적으로 싸웠던 사람인데, 그리고 억울하게 돌아가셨는데 근데 현충원에 없는 거예요.]

카자흐스탄에서 7년 전 귀화한 올가 씨는 기회 있을 때마다  할아버지의 유해를 찾아달라고 호소해 왔습니다.

[김올가/김경천 장군 증손녀 : 여기서는 무조건 힘들다. 무조건 찾을 수 없다라고 하면 정말 너무 억울하고….]

[방학진/민족문제연구소 기획실장 : 유명한 분들은 더 많이 유명하고, 더 많이 조명되고, 더 많이 기념되고, 수많은 무명의 독립운동가는 여전히 무명으로만 남아 있는 것이죠. 즉, 독립운동계에서의 빈익빈 부익부 현상이 있다고.]

2018년 우즈베키스탄에서 영구 귀국한 소피아 씨, 옛 서대문 형무소에서 1호 사형을 당한 의병장 허위 선생의 현손입니다.

넉넉하지 못한 형편이지만 대한민국 국적을 가보처럼 여기고 있습니다.

[소피아/허위 선생 증손녀 : 돈이 얼마 없어서 (아이들) 학원도 못 보내고, 집에서 같이 배웠어요. 힘들게 배웠어요.]

구소련 붕괴 후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러시아 등지에 흩어져 살다 차별대우와 경제적 어려움에 한국행을 택한 고려인들이  2010년 이후 급격히 늘고 있는데요, 전국 각지에 터 잡은 고려인 수가 10만 명에 달하는데 한국말이 서툴고 기술이 없다 보니 대부분 저임금 단순 노동자로 살아가고 있습니다.

상당수가 외국인 노동자들처럼 방문취업비자나 방문동거비자로 체류 중인데 국적 취득은 하늘의 별 따기다 보니 의료나 교육 등 복지에 사각지대가 많습니다.

[신대광/고려인 지원센터 '너머' : 피를 나눈, 그런 가족 같은 의미인데도 불구하고 따뜻한 비자를 주지 않아요. 외국인 노동자들이 당하는 피해들을 이분들도 똑같이 당하는 거예요.]

또다시 찾아온 광복절. 160년의 긴 유랑 끝에 돌아왔지만 여전히 이방인의 삶을 살아가는 고려인들. 

일상의 고단함보다 견디기 힘든 건 같은 핏줄이자 이웃들의 무관심과 냉대라고 말합니다.

[소피아/허위 선생 증손녀 : 한국 사람들이 우리 고조할아버지가 어떤 일을 했는지 기억해 줬으면 좋겠습니다.]

[김올가/김경천 장군 증손녀 : 홍범도 유해를 여기 모시는 게 끝이 아니었으면 좋겠어요. 이게 첫 단계, 첫 단계로 됐으면 좋겠어요.]
 
(영상취재 : 이승환·김태훈·설민환, 영상편집 : 정한욱, 작가 : 김채현, CG : 홍성용·최재영·성재은·정시원·안지현) 

▷ [이슈탐사] 160년 유랑, 귀국, 무관심…"필요할 때만 후손입니까?" 
[ 원문 링크 : https://news.sbs.co.kr/d/?id=N1006427019 ]
▷ '봉오동 전투' 홍범도 장군 유해, 광복절 고국 품으로  
[ 원문 링크 : https://news.sbs.co.kr/d/?id=N1006427926 ]

임상범 기자doongle@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