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직 포기한 엄마들..돌봄 부담에 '경력 단절' 증가

안서현 기자 2021. 8. 10. 21:1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코로나 양극화에 대한 연속 보도, 오늘(10일)은 팬데믹 이후 여성 고용 문제를 짚어보겠습니다.

코로나19 이후 맞벌이 가정의 돌봄 시간을 살펴봤더니 여성과 남성 모두 돌봄에 쓰는 시간은 늘었는데, 둘 사이의 격차는 더욱 커졌습니다.

[오삼일 차장/한국은행 조사국 고용분석팀 : 이번에 사라진 여성 일자리가 상당 부분은 자동화 확산으로 대체될 가능성이 상당히 높기 때문에 과거 코로나19 이전 수준의 여성 고용 수준을 회복하기 어려울 수 있다는 전망이 있습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코로나 양극화에 대한 연속 보도, 오늘(10일)은 팬데믹 이후 여성 고용 문제를 짚어보겠습니다. 과거 경기 침체기를 돌아보면 건설업, 제조업을 중심으로 남성 일자리가 크게 줄었는데, 코로나 상황에서는 양상이 다릅니다.

안서현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기자>

김정신 씨는 아이가 초등학교에 입학하던 지난해 육아휴직을 낸 뒤 회사로 돌아가지 못했습니다.

원래 계획대로라면 지난해 9월 복직을 했겠지만, 코로나19가 확산하면서 회사를 관두게 된 것입니다.

[김정신/주부 : 복귀를 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닌 거예요. 학교 가는 날이라고 했는데, 갑자기 문자메시지로 방역수칙 단계가 변경되면서 원격수업으로 변경되는 게 너무 많았거든요.]

퇴사 후 1년이 지난 지금도 하루하루가 변수투성입니다.

다시 일을 하고 싶은 마음은 굴뚝 같지만, 코로나19가 여전한 상황에서는 쉽지 않습니다.

[(태권도 학원에서) 집에 가래 (뭐라고? 방역한다고 집에 가래?) 응, 방역조치.]

보신 것처럼 코로나19로 인한 고용 충격은 남성보다 여성에 더 가혹했습니다.

KDI 보고서입니다. 코로나19 확산과 사회적 거리두기로 숙박업과 교육서비스업 등 고객을 상대하는 일자리가 상대적으로 많이 줄었는데, 이런 대면 서비스업에는 여성이 더 많이 고용돼 있었습니다.

여성들에 대한 '노동 수요' 자체가 줄어든 것입니다.

동시에 '여성 노동력'의 공급도 감소했습니다.

즉 일하려는 여성도 줄어든 것인데, 코로나19 확산으로 보육시설 운영이 중단되고 학교가 폐쇄되면서 자녀 돌봄에 대한 부담이 크게 증가했기 때문입니다.

어쩔 수 없이 그만둔 경력 단절 여성이 늘었다는 뜻입니다.

운 좋게 재택근무로 돌봄 공백을 겨우 면하게 됐더라도 상황은 녹록지 않습니다.

아이 돌보랴, 회사 일하랴, 집안 일하랴 이른바 '재택 맘'의 하루는 쉴 틈이 없습니다.

[허미연/재택근무 회사원 : 솔직히 말씀드리면 워킹맘보다 더 힘든 것 같아요. 제가 워킹맘도 해보고, 애만도 봐보고, 다 병행하는 '재택맘'이라고 제가 (지금) 그렇게 하는데 이게 쉬는 시간이 진짜 하나도 없더라고요.]

코로나19 이후 맞벌이 가정의 돌봄 시간을 살펴봤더니 여성과 남성 모두 돌봄에 쓰는 시간은 늘었는데, 둘 사이의 격차는 더욱 커졌습니다.

퇴사를 끊임없이 저울질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지속되고 있는 것입니다.

[오삼일 차장/한국은행 조사국 고용분석팀 : 이번에 사라진 여성 일자리가 상당 부분은 자동화 확산으로 대체될 가능성이 상당히 높기 때문에 과거 코로나19 이전 수준의 여성 고용 수준을 회복하기 어려울 수 있다는 전망이 있습니다.]

보육시설 확충과 유연근무제 확대 등 돌봄 부담을 덜기 위한 정책적 지원이 뒷받침되지 않는다면, 코로나19로 직장으로 돌아오지 못한 '일하는 엄마' 세대의 복귀는 계속 더뎌질 수밖에 없습니다.

(영상취재 : 김태훈, VJ : 김초아, 영상편집 : 정영삼, 작가 : 이수빈·이지율, CG : 홍성용·최재영·성재은·정시원·안지현) 

※ 이 기사는 한국언론진흥재단의 정부광고 수수료를 지원받아 제작되었습니다.

안서현 기자ash@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