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TI, 전고체 전지 제조 공정 향상 위한 소재 기술 개발.."제올라이트로 황화수소 발생 억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국전자기술연구원(KETI)은 황화물계 고체 전해질의 황화수소 가스 발생량을 저감할 수 있는 소재 기술을 개발했다고 10일 밝혔다.
황화물계 고체 전해질은 전고체 전지 핵심 소재로 주목받는 물질이다.
하지만 황화물계 고체 전해질은 수분에 대한 반응성이 높아 유해가스인 황화수소가 발생하는 게 단점이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국전자기술연구원(KETI)은 황화물계 고체 전해질의 황화수소 가스 발생량을 저감할 수 있는 소재 기술을 개발했다고 10일 밝혔다.
황화물계 고체 전해질은 전고체 전지 핵심 소재로 주목받는 물질이다. 전고체 전지는 리튬이온배터리의 액체 전해질을 고체로 바꾼 전지다. 전고체 전지는 폭발 위험이 적으면서 에너지밀도가 높아 차세대 배터리 시장을 주도할 제품으로 꼽히고 있다.
고체 전해질을 구성하는 핵심 소재로는 폴리머, 황화물, 산화물 등이 있다. 이 중 황화물계는 연성이 크고 이온 전도도가 높아 고용량 대형 전지 제조에 적합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하지만 황화물계 고체 전해질은 수분에 대한 반응성이 높아 유해가스인 황화수소가 발생하는 게 단점이었다. 이는 배터리 제조 공정에서 취급을 어렵게 하고, 성능 저하의 걸림돌로 작용했다.
KETI는 이 같은 단점 해결을 위해 고체 전해질에 제올라이트 나노입자를 소량 첨가·합성하는 방법을 고안했다. 대기 내 수분과 황화수소 가스를 동시에 흡착하는 제올라이트의 특성을 활용, 황화수소 발생을 줄였다. 제올라이트(Zeolite)는 실리콘과 알루미늄으로 이뤄진 다공성 광물이다.
KETI는 실험 결과 대기(상대습도 50%) 노출 시에도 황화수소 발생량이 3분의 1 수준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전해질 소재 열화를 방지해 전지 수명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고, 전지 자체가 파괴되더라도 황화수소 발생이 줄기 때문에 안전성 강화 효과가 기대된다고 강조했다.
기술 개발을 주도한 KETI 조우석 박사팀은 “첨가제의 개념으로 기존 소재를 활용했기 때문에 신규 소재를 개발하는 것 대비 단기간에 효율적 기술 확보가 가능했다”며 “차세대 전지 핵심 기술들을 발판으로 향후 고체 전해질 신규 소재 개발에도 박차를 가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우수성을 인정받아 재료화학 분야 국제 학술지인 '재료화학 A 저널' 최신호(7월 22일 자)에 게재됐다.
윤건일기자 benyun@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돌아온 이재용 부회장…삼성 '투자 시계' 빨라진다
- 4년 만에 시행되는 中企 기술탈취 방지법...대기업 반발 기류 여전
- 현대차그룹, E-GMP 전기차 '30만대' 시대 연다
- 규제샌드박스 '희망고문' 2년 반…'의약품 화상판매기' 독자 서비스 시작
- 비금융CB 이통3사 합작법인 설립, 결국 불발
- 신재생에너지공급인증서(REC) 2만원 대로 폭락…태양광 사업자 '사면초가'
- KT스카이라이프, 현대HCN 인수 18일 판가름…공정위 전원회의 상정
- 산업·에너지 공적개발원조(ODA) 사업 순항…정부, 'K-ODA' 고도화 추진
- 차세대 디브레인, 내년 1월 3일 전면 개통
- [히트가전, 힛(HIT)스토리]<14>귀뚜라미 '거꾸로 뉴 콘덴싱 프리미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