빠르게 다가오는 내연기관車 퇴출시간.. 국내 업체 속탄다

나기천 2021. 8. 8. 20:0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 바이든 행정부가 2030년까지 신차 절반을 친환경차로 채우겠다는 행정명령에 서명하면서 한국 완성차 업계의 전동화 시계가 더욱 빨라질 것으로 보인다.

미국이 내연기관차 퇴출 계획을 아직 명확히 하지 않고 있지만, 친환경차가 절반을 넘기는 2030년 직후가 그 시점이 될 가능성이 커졌기 때문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유럽연합·中 등 주요 수출시장
"2035년 완전 퇴출" 이미 선언
車산업 비중 큰 美 아직 신중모드
당분간 친환경차 보급 주력 예상
대규모 구조조정 대책 등 난제에
정부, 연도별 목표 아직 제시 안해
업계 "정부·학계 등 전폭지원 절실"
제네시스 브랜드가 최근 출시한 전기차 G80 전동화 모델. 이 모델은 제네시스의 첫 번째 고급 대형 전동화 세단이다. 현대차 제공
미국 바이든 행정부가 2030년까지 신차 절반을 친환경차로 채우겠다는 행정명령에 서명하면서 한국 완성차 업계의 전동화 시계가 더욱 빨라질 것으로 보인다. 미국이 내연기관차 퇴출 계획을 아직 명확히 하지 않고 있지만, 친환경차가 절반을 넘기는 2030년 직후가 그 시점이 될 가능성이 커졌기 때문이다. 향후 10여년 안에 얼마나 친환경차 비중을 높이느냐는 문제가 국내 자동차 업계의 생존과 직결될 전망이다.

8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미국을 제외한 유럽연합(EU)과 중국 등 국산 자동차 주력 수출시장은 이미 2035년을 내연차 퇴출 원년으로 잡았다. EU는 아직 확정된 것은 아니지만, 2030년까지 친환경차 누적 판매 3000만대를 달성하고, 2035년 이전에 내연차 판매를 금지한다는 계획을 마련했다. 중국 역시 2035년 이후 순수 내연차 신차를 퇴출하겠다는 방침이다.

자동차산업이 자국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워낙 높은 미국은 아직 신중한 분위기다. 조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 5일(현지시간) 2030년까지 배터리·플러그인하이브리드·수소전기차 등 ‘친환경차’가 신차 판매의 절반을 차지하도록 지원하겠다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동시에 이날 미국 교통부 등은 휘발유 1갤런(3.78L)당 40마일이던 연비 규정을 2026년까지 52마일로 높이는 새 규정을 마련했다. 당분간은 친환경차 보급 확대와 연비 개선을 통한 이산화탄소 저감 내연차 생산을 계속한다는 취지다. 친환경차 생산 속도를 단번에 높일 경우 내연차 근로자의 대량해고 등을 감수해야 하는 현실을 반영한 결정이다.
미국의 이런 움직임은 한국 자동차업계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는 분석이다. 최근 대통령 직속 2050 탄소중립위원회는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 초안’에서 2050년까지 전기·수소차 등 무공해차를 76∼97% 이상 보급하는 계획을 만들었다.
다만, 친환경차 확대를 위한 연도별 목표치 등은 제시되지 않았고, “내연차 판매중단 시점 등은 별도로 검토한 바 없다”고 탄소중립위는 강조했다. 미국과 마찬가지로 급격한 산업구조 재편에 따른 대규모 인력 구조조정 등의 후폭풍을 정부가 신경 쓰지 않을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한국의 주력 수출 업종인 완성차 산업이 결국은 EU나 중국 등의 움직임에 동조하지 않을 수 없다는 게 문제다. 이들이 마련한 내연차 퇴출 시점 이전에 친환경차로의 산업구조 재편에 서둘러야 한다는 얘기다. 전기차에는 엔진이나 연료탱크 등 내연차를 구성하는 부품 중 37%가량이 쓸모없다. 그만큼의 근로자가 회사를 떠나야 하고, 부품업체는 생산구조를 새로 짜야 한다.

업계 관계자는 “내연차 부품기업들이 전기차 시대에 맞춰 빠르게 미래차 부품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정부와 학계 등 전폭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며 “기업의 역량만으로는 미래차 전환에 한계가 있기에 특히 정부가 기업 규모별, 도급 단계별, 생산 부문별 특성에 맞는 맞춤형 정책을 추진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나기천 기자 na@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