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SW 개발보안' 지원 허브 생겼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소프트웨어(SW)개발보안허브'를 판교제2테크노밸리 정보보호 클러스터에 구축했다고 6일 밝혔다.
홍진배 과기정통부 정보보호네트워크정책관은 "SW 개발보안 활성화를 위해 소스코드 보안약점 진단, 개발자 대상 교육, 모범사례 공모전 등의 다양한 사업이 추진된다"며 "SW개발보안허브는 그 중 핵심 사업으로, 보안 역량이 취약한 중소기업 보안성을 강화해 최근 급증하고 진화하는 랜섬웨어 등 사이버공격으로부터 국민, 기업들이 안심할 수 있는 K-사이버 방역체계를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디넷코리아=김윤희 기자)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소프트웨어(SW)개발보안허브'를 판교제2테크노밸리 정보보호 클러스터에 구축했다고 6일 밝혔다.
SW 개발보안(시큐어코딩)은 SW를 개발하거나 변경할 때 보안 취약점을 최소화하기 위한 일련의 보안 활동을 말한다. 보안성 강화는 물론 취약점 제거를 위한 유지보수 비용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SW개발보안허브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소스코드 보안약점 진단, 교육, 체험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비용이나 전문성 부족 등의 요인으로 SW 개발보안 적용에 어려움을 겪는 중소기업 등을 지원하는 취지다.
SW개발보안허브는 ‘보안약점 진단실’, ‘진단 검증실’, ‘방송 스튜디오’ 등의 공간으로 구성돼 있다.
보안약점 진단실은 보안약점 진단도구가 갖춰져 있으며, 진단 전문가가 상주하고 있어 신청 기업이 내방해 소스코드 보안약점 진단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공간이다.
비대면 기술지원이 가능한 진단 검증실 및 온라인으로 교육, 설명회 등의 행사를 진행할 수 있는 방송 스튜디오 등의 시설도 갖추고 있다.
보안약점 진단 서비스를 이용하려는 기업은 온라인 또는 전화로 내방형 진단 또는 출장형 진단 중 신청 서비스를 선택한 후 진단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홍진배 과기정통부 정보보호네트워크정책관은 “SW 개발보안 활성화를 위해 소스코드 보안약점 진단, 개발자 대상 교육, 모범사례 공모전 등의 다양한 사업이 추진된다”며 “SW개발보안허브는 그 중 핵심 사업으로, 보안 역량이 취약한 중소기업 보안성을 강화해 최근 급증하고 진화하는 랜섬웨어 등 사이버공격으로부터 국민, 기업들이 안심할 수 있는 K-사이버 방역체계를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김윤희 기자(kyh@zdnet.co.kr)
Copyright © 지디넷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국내 SW, 잘 알려진 보안 취약점도 대응 못해
- "소스코드 취약점 찾는 것이 시큐어코딩 아니다"
- 스패로우, 중소기업 SW 취약점 진단해준다
- 정보보안 회사들이 고른 시큐어코딩 '트리니티소프트'
- 美, 내년부터 반도체·AI·양자 등 첨단산업 對中 투자 통제
- 30일 배달앱 상생회의체 9차 회의...입법으로 향하나
- 기아 첫 픽업트럭 '타스만', 한국·중동·호주 질주 준비 끝
- "집안 돌아다니는 생활반려 로봇, 스마트폰 가격에 나온다"
- 백종원의 더본코리아, ‘점주 갈등·고평가’ 딛고 흥행 성공할까
- 中 폰 기업 줄줄이 '플립형' 폴더블 시장 철수 고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