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옆단지랑 같이 합니다".. 통합 리모델링 바람 분 정비업계
여러 아파트 단지가 손잡고 단일 브랜드 단지로 리모델링을 추진하는 사례가 늘고있다. 사업 수익성을 높이면서도 대규모 단지의 이점을 누리겠다는 취지다. 다만 단지별로 조합 설립에서부터 인허가까지 사업 추진 속도가 다른 만큼, 주민들의 의견을 통합하지 못해 난항을 겪는 사례도 나오고 있다.
6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서울 구로구 신도림동 우성 1·2차 아파트는 지난달 22·23일 잇따라 조합원 총회를 열고 시공사를 GS건설로 선정하면서 통합 리모델링에 시동을 걸었다. 리모델링 사업이 완료되면 1차 아파트는 169가구에서 최대 194가구로 세대수가 늘어나게 된다. 2차 역시 기존 239가구에서 최대 268가구로 늘어날 예정이다.
이곳에서 통합 리모델링이 추진된 이유는 두 아파트 모두 300가구가 안되는 소규모 단지이기 때문이다. 소규모 단지는 대형 건설사에 시공을 맡기기 어렵다. 각 조합에서 진행한 1차 입찰에 참여한 건설사가 없어 유찰된 바 있다.
이후 각 조합이 동일한 브랜드로 리모델링을 추진하기로 하면서 상황이 달라졌다. 처음 우성아파트가 지어졌을 당시 1·2단지가 동일한 입주자대표회의를 꾸린 적이 있어 의견을 통일하는 것이 어렵지는 않았다는 게 조합 측의 설명이다. 두 단지를 합쳐 408가구가 되자 건설사 입장에서도 사업에 참여할 유인이 생겼다. 각 조합이 진행한 2차 입찰에는 GS건설이 단독 입찰했고, 두 곳 모두 최종 시공사로 확정됐다.
주민들 입장에서도 아파트의 가치를 높일 수 있다는 점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우성1차아파트 리모델링 조합 관계자는 “신도림동 일대에는 아파트를 지을 땅이 없어서 앞으로 10년 안에 신축이 들어오기가 쉽지 않다”면서 “우성 1,2차 단지 리모델링은 이제 시작하면 앞으로 7년 안에는 완공이 될 테니, 이 지역에선 집값을 이끄는 단지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리모델링 아파트 단지 설계 전문가인 박세희 지안건축사무소 대표도 “하나의 브랜드로 통합해 하나의 큰 단지가 된다는 것은 수익성 측면에서 긍정적”이라고 평가했다.
서울 노원구 월계동에서는 1998년에 준공된 청백3단지(458가구), 청백4단지(520가구)가 통합 리모델링에 나섰다. 1000가구급 대형 단지 중에서도 통합 리모델링을 추진하는 곳이 있다. 동작구 사당동에서는 1993년 12월 준공된 ▲우성2단지(1079세대) ▲우성3단지(855세대) ▲극동(1550세대) ▲신동아4차(912세대) 등 4개 단지가 손을 잡고 사업 추진에 나섰다. 사업이 완료되면 단지 규모는 총 4396가구에서 5060가구로 늘어나게 된다. 현재 이 구역은 같은 필지를 공유하는 우성2·3차 및 극동아파트와 필지가 분리된 신동아 4차아파트 2개로 나뉘어 조합 설립이 추진되고 있다.
이 밖에 1기 신도시에서는 경기 고양시 일산서구 일산동 후곡 11단지와 12단지가 지난달 중순부터 통합 리모델링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광역시의 경우 대전 서구 둔산동에서 동성·우성·라이프·신동아·한신 5개 단지가 통합 리모델링에 나섰다.
물론 통합리모델링은 사업 절차가 쉽지 않다. 아파트별로 연령과 평형이 다른 만큼 ▲비용분담 ▲사업방식(수직증축·수평증축) ▲인허가 속도 등을 맞추는 것이 어렵기 때문이다. 신도림동 우성 1·2차도 인근의 우성 3·5차 단지와 함께 추진하지는 얘기가 나왔지만, 사업방식을 두고 1·2차는 수평증축, 3차는 수직증축으로 의견이 엇갈리면서 무산됐다.
통합 리모델링이 아예 무산된 경우도 있다. 서울 용산구 이촌동에서는 지난 2018년 1월 건영한가람, 강촌, 코오롱, 대우, 우성 등 5개 단지를 5000가구 규모로 리모델링하는 사업이 추진됐다. 그러나 각 단지에서 조합이 설립되는 속도가 다르고 사업에 대한 방향성을 놓고도 이견을 좁히지 못하면서 같은해 11월 각자 리모델링을 추진하기로 했다.
전문가들은 통합 리모델링의 성패는 나뉘어진 조합들이 의견을 얼마나 통일할 수 있느냐에 달렸다고 입을 모은다. 한 대형건설사 관계자는 “시공사만 통일한다고 해서 통합이 되는 것이 아니고 사업 추진 단계에서 분담금을 정하거나 인허가 속도를 맞추는 일이 어려워 통합 리모델링이 쉽지는 않다”고 언급했다.
박 대표도 “사업 단계별 속도를 맞추는 것이 쉽지 않고 각 추진위에서 추구하는 것을 맞추는 것도 어렵다”고 말했다. 다만 그는 “여러 단지에서 제각각 리모델링을 추진하는 것보다는 하나의 브랜드로 통합해 단지 내 도로나 보행체계, 커뮤니티 시설을 등을 정리하는 것이 도시계획 측면에서 더 바람직하다”면서 “재건축·재개발이 어려운 지역에서는 정부가 통합 리모델링에 인센티브를 제공해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증시한담] 증권가가 전하는 후일담... “백종원 대표, 그래도 다르긴 합디다”
- ‘혁신 속 혁신’의 저주?… 中 폴더블폰 철수설 나오는 이유는
- [주간코인시황] 美 가상자산 패권 선점… 이더리움 기대되는 이유
- [당신의 생각은] 교통혼잡 1위 롯데월드타워 가는 길 ‘10차로→8차로’ 축소 논란
- 중국이 가져온 1.935㎏ 토양 샘플, 달의 비밀을 밝히다
- “GTX 못지 않은 효과”… 철도개통 수혜보는 구리·남양주
- 李 ‘대권가도’ 최대 위기… 434억 반환시 黨도 존립 기로
- 정부효율부 구인 나선 머스크 “주 80시간 근무에 무보수, 초고지능이어야”
- TSMC, 美 공장 ‘미국인 차별’로 고소 당해… 가동 전부터 파열음
- [절세의神] 판례 바뀌어 ‘경정청구’했더니… 양도세 1.6억 돌려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