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공원 1지구, 공원사업비↓..공공기여금도 빠져

이성각 2021. 8. 5. 21:47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KBS 광주] [앵커]

중앙공원 1지구 사업과 관련해 광주시가 이례적으로 긴급 도시계획위원회를 열 계획이라는 소식 전해드렸는데요.

이번 도시계획위원회에서 논의될 내용을 살펴보니, 당초 협약과 달리 사업자의 비용 부담을 줄여주는 등 공공성도 후퇴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이성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광주시 도시계획위원회 심의를 앞두고 있는 '중앙공원 1지구 사업계획 변경안'을 사업자측의 최초 사업 제안서와 비교해 보았습니다.

용적률은 164%에서 213%로 상향됐고, 아파트 세대수도 690세대가 늘어서 사업자측에선 수익이 늘 수 있습니다.

반면 사업자가 부담하기로 한 공공적 성격의 비용은 줄었습니다.

먼저, 중앙공원을 명품 공원으로 조성하겠다면서 약속한 공원시설 사업비는 오히려 111억원 가량이 줄었고, 비공원 사업비 가운데 사업자가 내기로 했던 공공기여금 250억원은 아예 빠졌습니다.

광주시는 땅값 상승 등 전체 사업비 변화가 있어 불가피한 측면이 있고, 아직 최종 변경된 상태는 아니다는 입장입니다.

[김종호/광주시 공원녹지과장 : "사전 절차가 어느 정도 정리가 되면 그 사이에 사업비를 저희가 검증할 것이고요. 최종 변경 체결은 아직 남아있기 때문에(더 논의할 예정입니다.)"]

시민단체들은 특혜 의혹은 물론 사업의 공공성이 흔들리고 있다고 지적합니다.

[서재형/광주경실련 도시건축위원장 : "사업자가 부담해야 할 비용이잖아요. (그런데)광주시가 양보 내지는 배려, 포기, 이렇게 해가지고 오히려 사업자에게 특혜를 주는듯한 인상을 주고 있습니다."]

특혜 논란에다 사업의 공공성도 훼손되고 있다는 지적 속에 광주시 도시계획위원회 심의결과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성각입니다.

촬영기자:이승준

이성각 기자 (drill@kbs.co.kr)

Copyright © KB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