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평가 논란' 크래프톤, 직원들도 우리사주 청약 외면

양사록 기자 2021. 8. 5. 19:3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기업공개(IPO) 공모주 일반 청약 흥행에 참패한 크래프톤이 우리사주 청약에서도 대어 가운데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5일 크래프톤이 공시한 증권발행실적보고서에 따르면 보면 우리사주조합에 최초 배정된 공모주는 173만846주인데, 청약 결과 최종 배정 주수는 35만1,525주에 그쳤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우리사주 청약률 20%에 그쳐..실권주 137만주 발생
최근 상장 IPO 대어들 대부분 100% 근접과 대조
[서울경제]

기업공개(IPO) 공모주 일반 청약 흥행에 참패한 크래프톤이 우리사주 청약에서도 대어 가운데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5일 크래프톤이 공시한 증권발행실적보고서에 따르면 보면 우리사주조합에 최초 배정된 공모주는 173만846주인데, 청약 결과 최종 배정 주수는 35만1,525주에 그쳤다.

이에 따른 우리사주 청약률은 20.3%다. 실권주 137만9,321주가 발생했다.

다른 대형 공모주의 우리사주 청약률을 보면 100%인 카카오게임즈를 비롯해 카카오뱅크(97.4%), SK바이오사이언스(97.8%), 하이브[352820](99.7%) 등은 100%에 육박했다.

우리사주 청약률이 다소 낮은 편이었던 SK아이이테크놀로지(66.0%)와 SK바이오팜(62.5%)도 60%는 넘었다.

앞서 크래프톤은 일반 청약에서 증거금 5조358억원, 경쟁률 7.79대 1이라는 저조한 성적을 내며 공모가 고평가 논란을 잠재우지 못했다. 크래프톤 공모가는 49만8천원, 공모 금액은 4조3천98억원으로 역대 2위 규모다. 기관 투자자의 의무 보유 확약 비율은 44.91%로 집계됐다. 즉 기관 물량의 절반 이상은 확약이 걸리지 않아 상장 직후 유통이 가능하다.

배정 물량을 기준으로 크래프톤의 확약 비율은 카카오뱅크(59.82%), SK아이이테크놀로지(64.57%), SK바이오사이언스(85.26%) 등을 크게 밑돌았다.

양사록 기자 sarok@sedaily.com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