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켓컬리, 올림픽 기간 안주류·무알콜 주류 판매량↑

이민주 2021. 8. 5. 14:0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도쿄올림픽 기간 동안 마켓컬리 안주와 무알콜 주류 판매량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5일 마켓컬리는 지난달 23일부터 지난 3일까지 12일간 상품 판매량 분석한 결과, 꼬치류 판매량이 전날 대비 96% 늘었다고 밝혔다.

또 지난달 30일 주요 안주류 판매량을 비교한 결과, 술 안주로 선호도가 높은 닭 근위(닭똥집) 구이의 판매량은 전날 대비 125% 늘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마켓컬리는 도쿄올림픽이 열린 기간 동안 안주와 무알콜 주류 판매량이 크게 늘었다고 밝혔다. /컬리 제공

빅매치 몰린 날 간편식 판매량 급증 "응원하며 즐기는 먹거리 인기"

[더팩트|이민주 기자] 도쿄올림픽 기간 동안 마켓컬리 안주와 무알콜 주류 판매량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5일 마켓컬리는 지난달 23일부터 지난 3일까지 12일간 상품 판매량 분석한 결과, 꼬치류 판매량이 전날 대비 96% 늘었다고 밝혔다. 같은 기간 대창과 닭 근위 판매량은 90%, 52%씩 증가했다.

안주류 판매량 순위를 따져 보면 전자레인지, 중탕, 찜기 등으로 간단히 데우기만 하면 되는 순대가 전체의 36%를 차지하며 가장 많이 팔렸다. 닭다리살, 염통, 버섯, 은행 등을 담은 꼬치류가 11%를 차지했고. 이어 족발, 곱창, 닭발 순이었다.

이 기간 무알콜 주류의 판매량도 23% 늘어났다. 하이네켄(31%), 칭따오(18%), 칼스버그(7%) 등 외국 주류가 상위권을 차지했으며, 클라우드(7%), 하이트(6%)가 뒤를 이었다.

온 가족이 즐길 수 있는 먹거리도 인기를 끌었다. 같은 기간 타코와 치킨너겟 판매량은 각각 78%, 55% 늘어났다. 호두, 피칸 등을 담은 파이류 판매량은 이 기간 116% 늘어났고, 크기의 부담을 줄인 미니케이크(47%), 롤케이크(31%) 등도 인기를 끌었다.

또 지난달 30일 주요 안주류 판매량을 비교한 결과, 술 안주로 선호도가 높은 닭 근위(닭똥집) 구이의 판매량은 전날 대비 125% 늘었다. 이날은 야구, 축구, 배구, 양궁 등 한국 국가대표팀의 경기가 연달아 열리기 전날이다.

다양한 요리에 활용할 수 있는 순대 판매량은 39% 증가했으며, 치킨과 감자튀김은 각각 23%, 14%씩 늘어났다. 칭따오, 하이네켄, 칼스버그, 클라우드, 스파클링 와인 등 무알콜 주류의 판매량 역시 전날 대비 19% 증가했다.

축구 온두라스전을 앞둔 지난달 27일에는 막창 판매량이 전날보다 232%, 곱창 24%, 수육 23% 늘었다. 야구 이스라엘전 전날인 지난달 28일에는 오돌뼈 판매량이 48%, 껍데기 46%, 닭발 26% 뛰었다.

마켓컬리는 외출 대신 집에서 가족과 함께 올림픽 시청을 하게 되면서 간단히 먹을 수 있는 먹거리 및 주류를 찾는 고객이 늘어난 영향으로 풀이했다.

minju@tf.co.kr

Copyright © 더팩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