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S리테일, 2Q 영업익 428억 전년比 28% ↓ "온라인 투자 탓"(상보)

김종윤 기자 2021. 8. 4. 17:5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GS리테일이 미래 성장 동력으로 꼽히는 이커머스에 집중 투자한 결과 하락한 성적표를 받았다.

GS리테일은 올해 2분기 영업이익(연결기준)이 전년 동기 대비 27.7% 하락한 428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4일 공시했다.

GS리테일의 주력 사업 편의점 매출은 1조8160억원으로 3% 늘었다.

GS리테일 관계자는 "미래 성장을 위해 이커머스 투자를 지속하고 있다"며 "하반기 통합 법인이 출범함에 따라 사업간 시너지 확대를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커머스 투자 비용 늘리면서 적자 폭 커져
코로나19 직격탄 호텔 회복 "하반기 합병 시너지"
© 뉴스1

(서울=뉴스1) 김종윤 기자 = GS리테일이 미래 성장 동력으로 꼽히는 이커머스에 집중 투자한 결과 하락한 성적표를 받았다.

GS리테일은 올해 2분기 영업이익(연결기준)이 전년 동기 대비 27.7% 하락한 428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4일 공시했다. 매출은 3.4% 늘어난 2조2855억원, 당기순이익은 253억원으로 24.5% 감소했다.

GS리테일은 프레시몰 등 디지털 커머스 강화를 위해 투자금을 대폭 늘렸다. 아직 초기 비용 투입 탓에 매출 상승 대비 적자 폭이 컸다. 실제 공통및기타(이커머스·H&B)의 경우 매출이 20.5% 증가한 반면 영업손실은 152억원 늘어난 292억원으로 나타났다.

GS리테일의 주력 사업 편의점 매출은 1조8160억원으로 3% 늘었다. 점포 순증에 따른 매출 증가가 특수 입지 매장 부진을 상쇄했다. 반면 영업이익은 5.5% 줄어든 663억원으로 집계됐다. 광고 판촉비와 일부 고정비 지출 영향이 반영된 결과다.

GS수퍼마켓 매출은 5.5% 감소한 2974억원이다. 영업이익 역시 67% 줄어든 31억원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재난지원금 사용에 따른 높은 기저효과와 온라인 선호 현상이 맞물린 것으로 분석된다.

코로나19 직격탄을 맞은 호텔 사업은 적자 폭 줄이기에 성공했다. 매출은 526억원으로 46% 증가했고 영업적자는 43억원 줄인 75억원으로 나타났다.

GS리테일 관계자는 "미래 성장을 위해 이커머스 투자를 지속하고 있다"며 "하반기 통합 법인이 출범함에 따라 사업간 시너지 확대를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passionkjy@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