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영문 동시 배포) 국립고궁박물관, 이달의 추천 유물로 '명문 분청사기 대접' 소개

2021. 8. 4. 11:3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명문 분청사기 대접'은 15세기 제작된 것들로, 바탕에 도장을 찍어 홈을 파고 백색 흙을 채워 넣는 기법(인화, 印花)으로 무늬를 새겼다.

특히, 전시 주요 소장품인 '분청사기 인화문 합천장흥고명 대접'은 바깥 면에는 지역이름(제작지)과 관청이름(납품처)을 새겼다.

음성재생 설정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문화재청 국립고궁박물관(관장 직무대리 전기선)은 조선 시대 도자기인 <명문(銘文) 분청사기 대접>을 8월의 ’큐레이터 추천 왕실 유물‘로 정해 국립고궁박물관 2층 상설전시장 ’왕실의 생활실‘에서 소개하고, 8월 4일부터 문화재청과 국립고궁박물관 유튜브로 온라인 공개한다. 
  * 문화재청 유튜브: https://www.youtube.com/chluvu
  * 국립고궁박물관 유튜브: https://www.youtube.com/gogungmuseum
 

  ‘명문 분청사기 대접’은 15세기 제작된 것들로, 바탕에 도장을 찍어 홈을 파고 백색 흙을 채워 넣는 기법(인화, 印花)으로 무늬를 새겼다. 특히, 전시 주요 소장품인 ‘분청사기 인화문 합천장흥고명 대접’은 바깥 면에는 지역이름(제작지)과 관청이름(납품처)을 새겼다. 각각 ‘합천(陜川)’과 ‘장흥고(長興庫)’라 적혀 있으며, 이러한 표기 방식은 15세기에 자주 나타난다.


  장흥고는 조선 건국 때부터 궁궐의 물품을 담당했던 주요 관청으로, 조선 3대 임금 태종(太宗, 재위 1401~1418년)은 1417년 국가에 세금으로 바치는 도자기에 납품처인 관청의 이름을 새기게 했다. 이는 궁궐 내 그릇의 분실과 도난을 막기 위한 조치였다. 또한, 그릇을 관리(상태, 품질)·감독하기 위해 지역 이름을 새겨 넣었다.
이번 전시에서는 ‘분청사기 인화문 합천장흥고명 대접’ 외에도 다양한 글자가 새겨진 분청사기들 10여 점을 함께 관람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조선 초기에 국가의 감독 아래 있었던 분청사기의 생산과 보급 상황도 살펴볼 수 있다.


  전시는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방역수칙을 준수한 가운데 진행되며, 직접 방문하지 않아도 국민 누구나 볼 수 있도록 국립고궁박물관 누리집(gogung.go.kr)과 문화재청·국립고궁박물관 유튜브에서 국·영문 자막과 함께 해설영상도 공개한다.



The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Presents
“Buncheong Bowl with Inscription” as the Curator’s Choice for August
- 15th Century Ceramic Vessel Inlaid with Inscription
to Be Showcased in the Gallery and on YouTube/ Starting August4.-


The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Acting Director: Joen Gi-Sun), an affiliate of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of Korea, has selected a buncheong bowl with inscription as the “Curator’s Choice from the Royal Treasures” for the month of August. In addition to being showcased in the Royal Court Life gallery on the second floor of the museum, these bowls will be presented virtually in a YouTube broadcast staring August 4.
*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YouTube: https://www.youtube.com/gogungmuseum
*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YouTube: https://www.youtube.com/chluvu


This inscribed buncheong bowl was produced in the fifteenth century and characterized by densely stamped rows of circles that are filled with white slip. Its exterior wall is inlaid with the name of its region of production (陜川, Hapcheon) and of the government office for which it was intended (長興庫, Jangheunggo*). This bowl is therefore known as Buncheong Bowl with Stamped Design and Inscription of “陜川”(Hapcheon) and “長興庫” (Jangheunggo). Ceramic vessels inlaid with such inscriptions were widely produced at the time.
* The Jangheunggo was the government office that supplied goods for use in the royal court.


Rulers with different standards were used during the Joseon Dynasty depending on the subject being measured. Rectangular brass rulers were calibrated with five different units of measurement one side with yegicheok (used for manufacturing objects related to ancestral rites) and jucheok, (for scientific instruments) and the other three sides respectively with hwangjongcheok (for musical instruments), yeongjocheok (for land or construction), and pobaekcheok (for cloth).


In 1417, King Taejong (r. 1401 1418) issued a decree that all ceramics wares that are paid to the state as a tax must be inscribed with the name of the office of their intended use. This was a measure to combat losses through the theft of court wares. Moreover, wares were inscribed with their production location as a means to help manage and supervise their condition and quality. This bowl is notable in that it is inscribed with Jangheunggo, the major government office responsible for supplying goods to the royal court since the founding of the Joseon Dynasty. In addition to this month’s Curator Choice, other examples of buncheong ware with inscriptions are on display in the gallery. Together, they provide an interesting glimpse into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buncheong ware under the supervision of the government during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museum may currently be accessed only in accordance with the requirements in place to reduce the potential for the spread of COVID-19. Those who are unable to visit the gallery in person can still enjoy this month’s Curator’s Choice virtually through a video with Korean and English subtitles available on the museum’s website (gogung.go.kr). Our visitors can also see on the YouTube channels of the museum and of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of Korea.




<분청사기 인화문 합천장흥고명 대접>

Copyright © 정책브리핑.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