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리한 골재 채취 중단하라"..대안 없나

안승길 2021. 8. 3. 21:52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KBS 전주] [앵커]

전북지역 어민들이 서해에서 이뤄지는 골재 채취 중단을 요구했습니다.

규정을 어긴 골재 채취로 어업 생태계가 파괴되고 있다는 주장인데요,

관리 주체인 해양환경공단은 뚜렷한 대책을 내놓지 못했습니다.

안승길 기자입니다.

[리포트]

배 위로 흙탕물이 폭포수처럼 쏟아집니다.

군산 어청도로부터 서쪽으로 30킬로미터가량 떨어진 해역에서 발견된 골재 채취선.

배가 지나간 바다에 토사가 마구 흘러갑니다.

해양환경공단으로부터 허가를 받은 배만 할 수 있는 배타적 경제수역에서의 골재 채취, 부유물질은 배를 멈춘 뒤 배 아래로 배출해야 하는데, 규정을 어긴 겁니다.

["중단하라! 중단하라!"]

서해에서 어업 활동을 하는 어민들이 한자리에 모였습니다.

골재 채취어선이 바닷속 모래에서 퍼 올린 흙, 이른바 '부유사'가 수면 위에 퍼져 모래에서 자라는 바다 생물의 산란장을 파괴한다며, 무리한 골재 채취를 중단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심명수/서해 EEZ 골재채취 피해대책위원장 : "부유사가 산란해놓은 알들을 덮습니다. 그러면 그 알에 부화하지 못하고 그대로 썩어버려서 그게 결국은 어민들이 잡는 고기(량)의 생산 감소로 나올 수밖에 없습니다."]

작업이 먼바다에서 이뤄지다 보니 실제 현장에서 규정이 얼마나 지켜지는지 일일이 확인하기 어렵습니다.

어민들의 반발에 골재 채취선 허가 주체인 해양환경공단은 부유사를 배 아래로 전부 배출하는 것이 사실상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며, 뒤늦게 대안을 찾기 위한 연구 용역에 나섰습니다.

하지만 이 연구 용역에 1년 안팎의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여 어민들의 반발은 계속될 전망입니다.

KBS 뉴스 안승길입니다.

촬영기자:김동균

안승길

Copyright © KB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