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여름 수해 허술한 댐 관리도 한 몫"

이승훈 2021. 8. 3. 21:22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꼭 일 년 전이었죠.

지난해 여름 50일이 넘는 기록적인 장마와 많은 비로, 특히 중부와 남부지역을 중심으로 많은 인명과 재산 피해가 났습니다.

그때 많은 피해주민들이 무능한 정부의 수해 관리에 목소리를 높였는데요.

그래서 조사를 해봤더니 주민들의 주장대로 많은 비 외에도 허술한 댐 관리도 피해를 키운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보도에 이승훈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여름 한반도엔 54일의 긴 장마가 찾아왔습니다.

기상 관측을 한 뒤 처음 겪은 일입니다.

또 집중호우가 곳곳을 파고들었습니다.

인명피해도 많았고 재산 피해만 무려 1조3천억 원이 넘었습니다.

피해 주민의 항의가 이어졌고, 그래서 정부가 조사를 해봤더니 부실한 물관리의 총제적 한계가 드러났습니다.

[배덕효 / 한국수자원학회장 : 댐의 구조적 문제, 댐 관리 미흡, 법·제도의 한계, 댐-하천 연계 홍수관리 부재, 하천의 예방투자 및 정부 부족 등 복합적인 원인에 의해 발생한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섬진강댐은 홍수 조절 능력이 6.5%에 불과한 문제가 있는 댐이라 많은 비를 막기엔 역부족이었습니다.

용담댐은 본격적인 홍수 전에 벌써 제한수위를 넘긴 상태였고, 남강댐은 계획방류량 이상의 물을 한꺼번에 흘려보내기도 했습니다.

또, 댐 관리자가 방류 사실을 윗선에는 먼저 보고하고, 주민에게는 뒤늦게 알리는 바람에 수해를 키운 사실도 일부 확인됐습니다.

정부가 조사한 댐 주변 피해 가구는 8천3백 가구가 넘는데 여전히 보상은 진행 중입니다.

[홍정기 / 환경부 차관 : 정부는 이번 수해원인조사 결과를 토대로 앞으로 환경분쟁조정 절차가 신속히 이루어지도록 관계기관과 함께 적극 지원·협력해 나가겠습니다.]

지금까지 환경분쟁조정을 신청한 곳은 청주시와 합천군 등 3개 시·군 주민 2천5백여 명입니다.

하지만, 지난여름 부실한 수해 관리가 확인된 만큼 분쟁 조정 신청은 더 늘어날 것으로 보입니다.

YTN 이승훈입니다.

YTN 이승훈 (shoonyi@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YTN은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YTN을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온라인 제보] www.ytn.co.kr

[저작권자(c) YTN & YTN plu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시각 코로나19 확진자 및 예방접종 현황을 확인하세요.

YTN star 연예부 기자들 이야기 [웹툰뉴스]

깔끔하게 훑어주는 세상의 이슈 [와이퍼]

Copyright © YT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