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걀·기름값 다 올랐다..넉달째 물가상승률 2%대 "날씨·변이바이러스 변수"

서주연 기자 2021. 8. 3. 18:09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식료품을 중심으로 상승 흐름이 물가 전반에 녹아들면서 7월 소비자 물가가 2.6% 뛰었습니다.

휘발유와 경유도 20% 안팎 올랐는데 날씨와 코로나 변이 바이러스 등이 변수가 될 전망입니다.

서주연 기자, 소비자 물가 흐름이 지수로 봐도 심상치 않군요?

[기자]

그렇습니다.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07.61로 1년 전보다 2.6% 상승했는데요.

4월부터 7월까지 4개월 연속 2%대 상승률을 유지했습니다.

품목별로 보면 농·축·수산물과 서비스, 전기, 수도요금까지 모두 올랐는데요.

달걀 57%, 마늘이 46% 올랐고 휘발유와 경유도 각각 20% 상승했습니다.

[앵커]

다른 농·축·수산물 가격은 어떤 흐름 보이고 있나요?

[기자]

네, 여름철 대표 과일인 수박의 국내 평균 가격은 2만3,000원대인데 한 달 사이에 5,000원, 1년 전보다는 32%나 올랐습니다.

닭고기의 경우 말복을 앞둔 데다 폭염 폐사까지 겹쳐 1㎏당 약 6,000원으로 2년 반 만에 가장 비싼 상황이고요.

돼지고기는 5.7%, 한우 등심도 8.9%씩 올랐습니다.

[앵커]

하반기는 어떨 것으로 전망됩니까?

[기자]

통계청은 "지난 2분기 물가 상승률인 2.5%보다 하반기가 높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는데요.

"지난해 저물가 지속에 따른 기저효과도 점차 완화되고 기존에 전망한 흐름을 달리 볼 이유도 없다"는 게 이유입니다.

다만 "여름철 폭염과 태풍 등 날씨와 원자재가격 상승 가능성 등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여기에 최근 변이 바이러스 유행 등이 악재로 작용할 수도 있다는 지적입니다.

한편 홍남기 경제부총리는 "다음 달 까지 달걀 2억 개를 수입해 대형 마트에 절반 이상 공급해 가격 안정에 나서겠다"고 밝혔습니다.

SBS Biz 서주연입니다.

돈 세는 남자의 기업분석 '카운트머니' [네이버TV]

경제를 실험한다~ '머니랩' [네이버TV]

저작권자 SBS미디어넷 & SBS I&M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SBS Bi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