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반도체 독립선언'..스마트폰 칩 자체생산

박상용 2021. 8. 3. 17:4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글로벌 정보기술(IT) 기업 구글이 오는 10월 출시하는 새 스마트폰 '픽셀6'(사진)와 '픽셀6 프로'에 자체 제작 애플리케이션프로세서(AP)를 탑재한다고 2일(현지시간) 발표했다.

AP는 스마트폰의 두뇌 역할을 하는 핵심 부품으로, 구글은 픽셀 스마트폰을 처음 내놓은 2016년부터 퀄컴의 AP를 사용해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스마트폰 두뇌' AP 성능 극대화
10월 출시되는 신제품에 첫 탑재
가성비에 집중하다 점유율 뺏겨
애플·삼성 '고가폰 시장'에 도전

글로벌 정보기술(IT) 기업 구글이 오는 10월 출시하는 새 스마트폰 ‘픽셀6’(사진)와 ‘픽셀6 프로’에 자체 제작 애플리케이션프로세서(AP)를 탑재한다고 2일(현지시간) 발표했다. AP는 스마트폰의 두뇌 역할을 하는 핵심 부품으로, 구글은 픽셀 스마트폰을 처음 내놓은 2016년부터 퀄컴의 AP를 사용해왔다. 이제는 자체 제작 AP로 스마트폰 성능을 극대화하고, 고급형 스마트폰 시장을 이끄는 애플과 삼성전자를 따라잡겠다는 구상으로 풀이된다.

 구글 하드웨어 중 최고의 혁신

픽셀6 시리즈에 올라가는 AP는 ‘구글 텐서’로 불린다. 인공지능(AI)의 데이터 분석과 딥러닝에 쓰이는 구글의 차세대 반도체 칩 ‘텐서 프로세싱 유닛’(TPU)에서 이름을 따왔다. 세계 최대 팹리스(반도체 설계 전문회사) 영국 ARM의 설계를 토대로 구글이 개발했다.

구글 텐서는 여러 반도체를 하나로 집약한 시스템온칩(SoC)이다. 얇고 가벼우면서도 성능이 좋은 스마트폰에 대한 선호가 커지면서 등장한 기술이다. 다양한 데이터를 한곳에서 처리할 수 있어 속도가 빠르다.

구글 텐서는 사진 및 비디오 작업부터 음성 인식, 번역 기능을 처리한다. AI 앱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비롯해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처리장치(GPU) 등도 포함돼 있다. 또 데이터를 클라우드로 전송하기 때문에 기존 AP보다 더 많은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릭 오스터로 구글 하드웨어 제품 총괄은 CNBC와의 인터뷰에서 “구글 텐서 덕분에 빠르게 움직이는 피사체도 흔들림 없이 선명하게 영상으로 촬영할 수 있다”며 “다른 스마트폰 AP에서는 볼 수 없는 성능”이라고 강조했다. 순다르 피차이 구글 최고경영자(CEO)는 “텐서 칩은 우리가 지금까지 만든 하드웨어 제품 중 가장 뛰어난 혁신”이라고 했다.

 AP 독립은 승부수

구글이 스마트폰 AP 독립에 나선 것은 스마트폰 성능을 끌어올리기 위한 의도로 해석된다. 구글은 지난 수년간 고급형 스마트폰보다는 ‘가성비’(가격 대비 성능)가 뛰어난 보급형 스마트폰 시장에 집중했다. 하지만 시장에서 큰 두각을 나타내지 못했다.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1분기 픽셀 스마트폰의 시장 점유율은 전년 동기보다 7% 감소했다. 반면 같은 기간 구글보다 규모가 훨씬 작은 중국의 휴대폰 제조업체 원플러스는 판매량이 400% 증가했다. 모토로라 노키아 삼성전자 애플 등도 모두 판매가 늘었다고 블룸버그통신은 전했다.


다른 스마트폰 제조사들이 하드웨어 성능을 적극적으로 업그레이드한 반면 구글은 상대적으로 뒤처진 게 결정적인 패착 요인으로 지목됐다. 이를 극복하려면 AP 자체 개발이 필수라는 분석에 힘이 실렸다. 여기에 고급형 스마트폰 경쟁에 뛰어들어야 한다는 목소리도 많았다.

세계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매출 기준) 1, 2위인 애플과 삼성전자가 그랬다. 애플은 2010년 아이폰에 들어가는 칩을 자체 개발했다. 지난해 11월에는 기존 인텔 칩 대신 자체 제작한 ‘M1’ 칩을 장착한 노트북 맥북에어와 맥북프로, 소형 데스크톱 맥미니 등의 신제품을 선보였다. 블룸버그는 “삼성전자는 인텔과 세계 1위를 다투는 반도체 제조기업”이라며 “스마트폰 판매량은 애플보다 많다”고 했다.

블룸버그는 구글이 ‘구글 텐서’를 개발하기 위해 수년 전부터 막대한 투자금을 쏟아부었을 것으로 추정했다. 구글은 애플 출신 엔지니어를 영입해 개발에 참여시키기도 했다. 퀄컴은 “구글과 계속해서 밀접하게 협력할 것”이라며 “현재 및 미래 일부 제품에는 우리의 AP 스냅드래곤이 탑재될 것”이라고 했다.

박상용 기자 yourpencil@hankyung.com

경제지 네이버 구독 첫 400만, 한국경제 받아보세요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