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차 제주국제자유도시 계획에 제2공항 연계 혁신도시 반영

고성식 2021. 8. 3. 15:38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제주도, 아웃렛 제외 8대 전략 112개 사업 추진
도민 의견 수렴 후 이달 도의회 동의안 제출 예정

(제주=연합뉴스) 고성식 기자 = 제주도민의 삶의 질 향상 방안과 공감대 형성이 부실하다는 지적 등을 받아 연기됐던 '제3차 제주국제자유도시 종합계획(안) 수립 최종보고회'가 3일 제주웰컴센터에서 열렸다.

온라인으로 열린 제3차 제주국제자유도시 종합계획안 [제주도 유튜브 온라인 방송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제주도는 이날 제3차 제주국제자유도시 종합계획(안) 수립 최종 보고회(이하 제3차 계획안)를 열어 8대 전략 112개 사업의 주요 내용과 추진 상황을 설명하고 도민 의견을 받았다.

제3차 계획안은 '사람과 자연이 공존하는 스마트 사회, 제주'를 기치로 해 기존 1차와 2차 계획안을 수정·보완하고 제주 미래 비전 등을 반영했다.

도는 2031년까지 15조7천236억원(핵심사업 9조2천317억원, 전략사업 6조 4천919억원)의 총사업비를 들여 제3차 계획을 추진할 예정이다.

8대 전략은 '쾌적하고 건강한 생활공간 조성', '편리한 지능형 인프라 기반 확충', '세대와 계층, 성별을 아우르는 포용력 정책 강화', '깨끗한 환경관리와 매력적인 경관 창출' 등이다.

또 '제주 산업기반 확충'(농업·수산업·임업·관광업 등), '미래산업 혁신역량 제고', '세계적 수준의 문화예술 자원 발굴·육성', '국제교류 증진과 외국인 정주 여건 개선' 등의 8대 전략이다.

이에 따른 전략별 핵심 사업 중 주요 내용은 '스마트 혁신도시 조성', '청정 제주트램', '제주형 혁신 물류단지 조성', '중산간 순환도로 및 스마트 환승 허브 조성', '글로벌 교육특화도시', '제주형 통합복지 하나로 기반 복지전달체계 구축', '제주 의료체계 선진화 사업' 등이다.

또 '화산과학관 유치', '오름 및 곶자왈 도민 자산화 생태공원 조성', '2030 쓰레기 걱정 없는 제주(2030 WFI) 사업', '제주휴양 치유센터', '푸드아일랜드', '제주글로벌교류허브공간', '서프 파크'(SURF PARK), '미래농업센터', '제주형 그린뉴딜 정책 복합 사업', '제3차 국가산단 조성', '국제복합문화예술공간 조성' 등이다.

스마트 혁신도시 및 제3차 국가산업단지는 제주 동부에, 글로벌 교육특화도시는 영어교육도시를 입지로 추진된다.

또 제주트렘은 제주시 도심지, 물류단지는 제주항 배후지역, 제주휴양치유센터는 서귀포 인근, 푸드아일랜드는 용암해수산업단지 인근, 글로벌 허브공간은 제주도심과 그 인근이다.

이와 함께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한 서프 파크는 중문관광단지, 미래농업센터는 제주시 서부 등에서 추진하기로 계획했다.

세부적으로 도는 스마트 혁신도시의 경우 제2공항 추진 시 공항 경제권 기능 및 공항연계기능 강화를 위해 내년부터 2031년까지 1조3천억원을 들여 제주 동부권인 성산읍 일원에 혁신도시를 조성하기로 계획했다.

또 제주트램은 탄소 중립 및 그린뉴딜을 위해 제주공항, 원도심 제주항을 연결하는 약 18㎞에 이르는 노선에 조성하기로 계획했다.

도는 제주형 그린뉴딜정책 복합사업으로 폐배터리를 활용한 에너지 순환 사업과 전기 수소연료 활용성 강화를 위한 차량 전환사업, 전기 수소차 보급 확대 사업, 신재생에너지 활용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조성 등을 계획했다.

이들 17개 핵심 사업은 예산과 민간 투자 등 약 9천999억원의 사업비가 투입돼 2031년까지 총 3단계로 추진된다.

이와 함께 도는 제3차 계획안에 제도 개선 과제로 제주특별자치도 특별법과 국제자유도시개발 특별법을 분리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이날 보고회에서 조판기 국토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쇼핑아웃렛 몰이 도민 사회에서 갈등이 많고 반대 의견이 많다고 판단해 제외했다"고 말했다.

이어 "지난 보고회 등을 통해 도민 사회에서 바라는 것들이 기존과 다르다는 것을 느꼈다. 도민 사회에서 원하는 삶의 질 향상 등에 대한 항목을 추가 보완했다"고 말했다.

하지만 제2공항과 연계한 스마트 혁신도시 조성 사업 추진으로 인해 논란을 사기도 했으나, 이번 최종안에도 변경 없이 반영했다.

이날 보고회에서 강보배 도민 참여단의 청년조정위원회 부위원장은 "스마트환승 사업 및 산간 도로 개편 문제가 중요하다지만 중점 사업 가운데 가장 예산이 많이 드는 사업으로 계획된 부분이 맞는 방안인지 의문이 든다"면서 "또 청년 관련 사업을 다양화하고 지금의 청년정책과 연관성 있게 반영해달라"고 말했다.

도민 참여단의 한 시민은 "관광객과 상주인구 증가로 인해 생활환경 분야의 쓰레기 소각장 포화 문제가 크다"면서 "그에 대한 대책을 중점적으로 연구, 추진했으면 한다"고 말했다.

도는 지난해 6월부터 3차 계획안 용역을 추진했으며 동시에 설문조사 등의 의견을 수렴했다.

이후 지난 6월 보고회를 열었지만, 도민 삶의 질 향상 부분을 보완하고 도민 공감대 형성 과정이 더 필요하다는 의견에 따라 최종 보고회를 이날 열었다.

도는 이번 최종 보고회를 통해 수렴된 의견을 제3차 계획안에 반영해 이달 도의회에 동의안을 제출할 예정이다.

koss@yna.co.kr

☞ "단지 촉촉했을 뿐…" 한일전 김연경 퇴근길 화제된 이유는?
☞ 한중전서 욕설한 中배드민턴 선수, 발음탓 변명했지만…
☞ 치매 할머니와 화투 친 '방호복 그녀' 알고봤더니
☞ 대만팀 응원했다가 '뭇매'…중국 광고 끊긴 유명 가수
☞ '메로나의 아버지' 김성택씨 별세…"진정한 아이스크림 장인"
☞ "한식 도시락 근거 없는 소문 만든다"…일본의 생트집
☞ 유재석, 코로나19 음성 판정…안테나 입장문
☞ '14억의 최애' 여자배구팀 탈락에 대륙 탄식
☞ 바퀴벌레 기어 다닌 중국 밀크티 체인…잠입취재에 딱 걸려
☞ '낙태강요 미수혐의 ' 39살 연하 여성에 피소된 김용건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