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자는 여우 털 '쏙쏙'..박새가 '털 도둑질' 목숨 거는 이유는?

조홍섭 2021. 8. 3. 14:5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박새는 둥지를 만들 때 주변에서 쓸만한 재료가 눈에 띄면 플라스틱 끈이든 담배꽁초든 가리지 않는다.

그러나 일부 박새류는 한 걸음 나아가 여우와 너구리는 물론 사람이나 호저 등 포유류의 털을 뽑아 둥지의 마감재로 쓰는 것으로 밝혀졌다.

밸러드는 "박새는 이후 매일 여우굴에 와 털을 뜯어 갔는데 둥지의 단열성을 높이기 위한 마감재로 쓰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애니멀피플]
잠자는 여우·개·고양이·사람·호저 표적..단열과 포식자 퇴치 목적인 듯
털을 뽑기 위해 잠자는 여우 등에 내려앉은 댕기박새. 털 훔치기는 새들의 알려지지 않은 행동일 가능성이 제기됐다. ‘텍사스 뒷마당의 야생동물’ 유튜브 영상 갈무리

박새는 둥지를 만들 때 주변에서 쓸만한 재료가 눈에 띄면 플라스틱 끈이든 담배꽁초든 가리지 않는다. 그러나 일부 박새류는 한 걸음 나아가 여우와 너구리는 물론 사람이나 호저 등 포유류의 털을 뽑아 둥지의 마감재로 쓰는 것으로 밝혀졌다.

댄 밸러드와 제인 헌터는 미국 텍사스 오스틴에서 2만㎡ 넓이의 숲이 딸린 집에 사는 아마추어 야생동물 애호가다. 그는 이 거대한 ‘뒷마당’에 50대의 무인 카메라를 설치해 촬영한 야생동물의 다양한 모습을 ‘텍사스 뒷마당의 야생동물’이란 이름으로 유튜브에 공개한다.

지난 3월 밸러드의 카메라에는 흥미로운 광경이 찍혔다. 굴 밖에 나온 여우 한 마리가 봄볕을 쬐며 졸고 있는데 미국 특산 박새류인 댕기박새 한 마리가 등이나 배를 쪼며 괴롭히는 모습이었다. 여우는 그때마다 새를 쫓아냈지만 박새는 끈질기게 다가와 쪼아댔다.

밸러드는 “박새는 마치 ‘여름이 오면 필요 없게 될 털 좀 나눠주면 안 돼?’라고 말하는 것 같았다”고 설명했다. 얘기가 통했는지 조금 지나자 여우도 새를 내버려 두었고 박새는 여우 털 한 움큼 입에 물고 사라졌다. 밸러드는 “박새는 이후 매일 여우굴에 와 털을 뜯어 갔는데 둥지의 단열성을 높이기 위한 마감재로 쓰는 것 같다”고 말했다.

미국 일리노이대 어바나-샴페인 캠퍼스 생물학자들도 비슷한 모습을 보고 연구에 나섰다. 이 대학 마크 하우버 교수(진화·생태·행동학)는 “포유류 털을 가져와 둥지를 짓는 새들은 죽은 동물이나 떨어진 털을 주워 오는 것으로 흔히 알고 있었다며 “그런데 우리가 본 것은 댕기박새가 살아있는 미국너구리의 털을 잡아뽑는 모습이었고 너구리는 개의치 않고 잠을 계속 잤다”고 이 대학 보도자료에서 말했다.

연구자들은 이것이 우리가 몰랐던 새들의 새로운 행동일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자료조사에 나섰다. 9건의 기존 연구결과가 있었지만 놀랍게도 탐조가들이 이런 행동을 담은 영상은 훨씬 많았다.

털 훔치기 행동의 주인공은 대부분 댕기박새나 검은머리박새였고 그 대상은 고양이, 개, 사람, 미국너구리 그리고 호저 등 다양했으며 자는 동안 털을 뜯기는 일이 많았지만 깨어있는 상태에서도 비슷한 일이 벌어졌다.

북미 고유종인 댕기박새. 포유류 털 훔치는 행동을 자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슬린 앤더슨, 위키미디어 코먼스 제공

그렇다면 댕기박새는 왜 수많은 재료 가운데 유독 포유류의 털에 집착하는 걸까. 털을 훔치다가 자칫 목숨을 잃을 수도 있는데, 털에 무슨 중요한 기능이라고 있는 걸까.

헨리 폴록 이 대학 박사과정생은 “털의 기능은 논란의 여지가 있지만 온대기후 지역에 서식하는 새들에 이런 행동이 흔한 것으로 보아 둥지의 보온이 주목적인 것 같다”고 말했다. 털을 얻을 때 겪는 위험보다 새끼를 잘 길러내는 이득이 커 진화한 행동이라는 얘기다.

그러나 다른 이득이 있을 수도 있다. 포유류의 냄새가 나는 털로 둥지를 마감하면 뱀이나 다른 새 등 천적을 막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연구에 참여한 제프리 브라운 교수는 “댕기박새와 마찬가지로 나무구멍 등에 둥지를 트는 큰뿔솔딱새도 천적을 막기 위해 둥지에 뱀의 허물을 가져오기도 한다”고 말했다. 구멍 둥지의 취약점인 기생충을 막을 가능성도 있다.

북미에 서식하는 검은머리박새. 나무구멍 등에 둥지를 박새류에서 포유류 털을 훔치는 행동이 나타난다. 위키미디어 코먼스 제공

폴록은 “이번 연구는 동물의 행동 가운데 흥미롭지만 종종 간과된 것들이 많다는 걸 보여준다”며 “그런 점에서 자연을 세심하게 관찰하는 아마추어 자연연구자들이 생태계를 비밀을 밝히는 데 아주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 연구는 과학저널 ‘생태학’ 최근호에 실렸다.

인용 논문: Ecology, DOI: 10.1002/ecy.3501

조홍섭 기자 ecothink@hani.co.kr

Copyright © 한겨레.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크롤링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