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은 정신적 아편" 中관영매체 한 마디에 게임주 '우르르'

김무연 2021. 8. 3. 14:3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중국 빅테크 대표기업 텐센트의 주가가 하루 만에 10% 이상 빠졌다.

중국 관영매체에서 온라인 게임을 '정신적 아편'에 비유하면서 곧 게임 시장에 대한 중국 당국의 제재가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 나온 탓이다.

3일 오후 2시 기준 홍콩 증시에 상장된 텐센트의 주가는 장중 전일 대비 10% 이상 하락한 426홍콩달러에 거래 중이다.

텐센트와 라이벌 관계인 넷이즈 또한 같은 기간 주가가 11% 빠졌고, 게임제작사 심동네트워크(XD)의 주가도 12% 가까이 내렸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게임 시장 강도 높은 규제 예고로 해석
텐센트·넷이즈·XD 등 10% 이상 하락
中 매출 높은 넥슨 주가도 8% 이상 빠져

[이데일리 김무연 기자] 중국 빅테크 대표기업 텐센트의 주가가 하루 만에 10% 이상 빠졌다. 중국 관영매체에서 온라인 게임을 ‘정신적 아편’에 비유하면서 곧 게임 시장에 대한 중국 당국의 제재가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 나온 탓이다.

텐센트 로고(사진=AFP)
3일 오후 2시 기준 홍콩 증시에 상장된 텐센트의 주가는 장중 전일 대비 10% 이상 하락한 426홍콩달러에 거래 중이다. 텐센트와 라이벌 관계인 넷이즈 또한 같은 기간 주가가 11% 빠졌고, 게임제작사 심동네트워크(XD)의 주가도 12% 가까이 내렸다. 중국 매출이 전체의 28%를 차지하고 있는 넥슨 주가도 8% 이상 하락했다.

주가 급락은 중국 관영 신화통신이 발행하는 신문인 경제참고보의 보도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블룸버그통신 등에 따르면 경제참고보(Economic Information Daily)는 일부 학생들이 텐센트의 ‘왕자영요’를 하루 8시간씩 한다면서 당국의 엄격한 규제를 촉구했다.

‘왕자영요’는 텐센트 소속의 텐센트게임즈에서 2015년부터 서비스하고 있는 모바일 게임으로 현재 전세계에 등록 회원 수만 2억명 이상인 인기 게임이다. 총 10명의 플레이어가 5대 5로 팀을 나눠 영웅 캐릭터를 이용해 적의 기지를 공략하는 게임으로, 라이엇게임즈의 리그 오브 레전드(LoL)과 비슷하다.

경제참고보는 게임을 ‘전자 약물’이라면서 “어떤 산업도, 어떤 스포츠도 한 세대를 파괴하는 방식으로 발전하는 것을 허용할 수 없다”라고 강조했다. 중국에서 마약 범죄는 극형에 처해질 만큼 국가에서 철저하게 규제하는 분야다. 과거 청나라가 영국에서 수입된 아편으로 사실상 국가로서 기능을 상실한 전례가 있기 때문이다.

커얀 DZT리서치 애널리스트는 “신화통신의 보도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라면서 “정신적 아편이란 말은 매우 가혹한 표현이며, 규제 당국이 이에 대해 아무 조치도 취하지 않는다면 외려 그것이 놀라운 일이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미 중국 정부는 게임 관련 산업에 칼날을 겨누고 있는 상태다. 앞서 2019년 미성년자가 심야 시간(오후 10시~오전 8시)에 온라인 게임에 접속할 수 없도록 하는 셧다운제를 도입했다. 지난달에는 특정 게임에 얼굴 인식 시스템을 설치해 청소년이 부모 명의로 게임 내 아이템을 구매하는 행위를 막았다. 이에 따라 지난해 4분기 중국 온라인 게임 총수입에서 미성년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6%에 그쳤다.

중국은 청소년 보호를 목적으로 지속적으로 엄격한 규제를 내놓고 있다. 지난달에는 학부모의 경제적 어려움 및 청소년의 교육 부담을 해소한다는 명목으로 사기업의 상장을 금하는 강력한 제제 방안을 내놨다. 이번 경체참고보의 보도도 게임 시장에 대규모 제재를 내놓으려는 신호라고 전문가들은 분석하고 있다.

김무연 (nosmoke@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