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화환원 비활성 금속이 항암전구체 합성 조절하는 현상 규명

김용태 2021. 8. 3. 14:2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한국과학기술원(KAIST) 연구진과 함께 산화환원 비활성 금속(Redox-inactive Metal)의 종류에 따라 항암전구체 물질의 합성 반응이 달라진다는 사실을 새롭게 규명했다고 3일 밝혔다.

산화환원 비활성 금속이 없을 때는 두 물질이 반응해 항암전구체인 하이드록시메이토 코발트가 만들어졌지만, 약한 산 역할을 하는 산화환원 비활성 금속이 있을 때는 퍼옥시이미데이토 코발트가 합성됐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UNIST·KAIST 공동 연구.."신약 개발 연구에 기여 가능"
UNIST 조재흥 교수와 김경민 연구원 [울산과학기술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울산=연합뉴스) 김용태 기자 =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한국과학기술원(KAIST) 연구진과 함께 산화환원 비활성 금속(Redox-inactive Metal)의 종류에 따라 항암전구체 물질의 합성 반응이 달라진다는 사실을 새롭게 규명했다고 3일 밝혔다.

UNIST에 따르면 화학과 조재흥 교수팀은 KAIST 화학과 백무현 교수팀과의 공동 연구를 통해 산화환원 비활성 금속이 하이드록시메이토 코발트 합성에 관여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산화환원 비활성 금속은 반응성이 낮아 자기 자신은 산화되거나 환원되지 않지만, 금속 효소의 활성을 조절할 수 있는 금속 이온이다. 광합성 효소에 포함된 칼슘 이온이 대표적이다.

하이드록시메이토 코발트는 나이트릴(nitrile·탄소와 질소의 삼중결합으로 이뤄진 유기화합물)과 금속-활성산소 종이 반응해 생기는 물질이다.

암세포에서 과도하게 발현되는 특정 효소를 억제할 수 있어 암세포만 골라 죽이는 항암전구체 후보 물질로 꼽힌다.

연구 결과 산화환원 비활성 금속의 유무와 그 종류에 따라 나이트릴과 코발트-퍼옥소 종(금속-활성산소 종)이 반응해 합성되는 생성물이 달라졌다.

산화환원 비활성 금속 이온을 이용한 코발트-퍼옥소 화합물과 나이트릴의 반응 조절 도식. [울산과학기술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산화환원 비활성 금속이 없을 때는 두 물질이 반응해 항암전구체인 하이드록시메이토 코발트가 만들어졌지만, 약한 산 역할을 하는 산화환원 비활성 금속이 있을 때는 퍼옥시이미데이토 코발트가 합성됐다.

반면 강한 산이 있는 경우에는 나이트릴과 금속-활성산소 종이 서로 반응하지 않았다.

퍼옥시이미데이토 코발트는 하이드록시메이토 코발트 생성 화학 반응의 중간 단계 생성물로 밝혀졌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조 교수팀은 2017년 나이트릴과 금속-활성산소 종을 반응시켜 하이드록시메이토 코발트 합성에 최초로 성공한 바 있으며, 이번 연구로 퍼옥시이미데이토 코발트라는 반응 중간 단계 물질이 생성된다는 사실을 추가로 규명했다.

이번에 연구된 화학 반응은 나이트릴이 포함된 화합물을 전환하는 생화학 촉매 개발에도 응용할 수 있다.

나이트릴은 의약품, 농약, 고무 대체품 제조 등에 널리 쓰이는데, 질소와 탄소가 단단히 결합해 있어 활성화 반응을 일으키기 쉽지 않았다.

조 교수는 "생체 내 효소 반응에서 핵심 역할을 하는 산화환원 비활성 금속의 또 다른 기능을 알아냈다는 것과 이를 통해 나이트릴 활성을 조절했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미가 크다"며 "향후 신약 개발 연구 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화학 분야 국제 학술지인 '미국화학회지'(JACS·Journal of American Chemical Society)에 7월 27일 자로 온라인 게재됐다.

연구 수행은 한국연구재단이 주관하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사업과 기초과학연구원의 지원으로 이뤄졌다.

yongtae@yna.co.kr

☞ "단지 촉촉했을 뿐…" 한일전 김연경 퇴근길 화제된 이유는?
☞ "한식 도시락 근거 없는 소문 만든다"…일본의 생트집
☞ 대만팀 응원했다가 '뭇매'…중국 광고 끊긴 유명 가수
☞ '메로나의 아버지' 김성택씨 별세…"진정한 아이스크림 장인"
☞ '14억의 최애' 여자배구팀 탈락에 대륙 탄식
☞ '3관왕' 역사 쓴 안산, 모교 찾아 후배들에게 남긴 말은
☞ '낙태강요 미수혐의 ' 39살 연하 여성에 피소된 김용건
☞ '도마 황제' 신재환, 금빛 착지 뒤엔 남모를 아픔이
☞ 이게 가능하다고?…넘어지고도 일어나 달려 1위로 골인
☞ 빌 게이츠 부부 이혼 확정…175조원 재산 중 아내몫은?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