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재확산에 '줌' 다시 뜨고 '배민' 2,000만 돌파했다

박현익 기자 2021. 8. 3. 10:2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올 상반기 코로나19 확산세가 다시 거세지며 배달, 화상회의 등 비대면 애플리케이션(앱) 이용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3일 모바일 빅데이터 플랫폼 모바일인덱스가 발간한 '2021 상반기 모바일 앱 랜드스케이프 분석' 리포트에 따르면 배달 앱 '배달의민족' 사용자 수는 꾸준히 증가해 지난 6월 월간 사용자 수(MAU) 2,019만 명을 기록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배민 첫 2,000만 돌파, 쿠팡이츠도 1년 새 10배 늘어
화상회의 '줌' '구글미트', 2월 바닥 찍고 3월 반등
[서울경제]

올 상반기 코로나19 확산세가 다시 거세지며 배달, 화상회의 등 비대면 애플리케이션(앱) 이용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3일 모바일 빅데이터 플랫폼 모바일인덱스가 발간한 '2021 상반기 모바일 앱 랜드스케이프 분석' 리포트에 따르면 배달 앱 ‘배달의민족’ 사용자 수는 꾸준히 증가해 지난 6월 월간 사용자 수(MAU) 2,019만 명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약 37% 늘었으며 배달의민족 MAU가 2,000만 명을 돌파한 것은 처음이다. 동종 앱인 ‘쿠팡이츠’ 사용자 수도 크게 늘었다. 올 6월 쿠팡이츠 MAU는 550만 명으로 지난해 6월(56만 명)보다 10배 가까이 증가했다.

화상회의 플랫폼 ‘줌(ZOOM)’도 코로나19 재확산에 사용자가 다시 급등했다. 지난해 12월 MAU 600만 명을 찍었던 줌은 올 2월 410만 명까지 떨어졌다가 3월에 580만 명으로 급등, 이후 꾸준히 500만 명대를 유지하고 있다. 지역별 접속 현황을 보면 경기도(30.65%), 서울(29.02%)이 압도적으로 많았고 이어 부산(5.38%), 경상남도(4.65%). 인천(4.38%) 순으로 나타났다. 또 다른 화상회의 플랫폼 ‘구글미트(Google Meet)’ 역시 비슷한 추세를 보였다. 지난해 말 66만 명을 기록했던 구글미트 MAU 지난 2월 34만 명까지 떨어졌으나 3월에 다시 62만 명까지 회복했다. 이어 4~6월 동안 50만 명대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외 여행이 어려워지며 국내 숙박 앱 사용자 수도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올 1월 423만 명에서 6월 609만 명까지 약 1.4배 증가했으며 이 중 ‘야놀자’가 373만 명, ‘여기어때’가 292만 명의 6월 사용자 수를 기록했다. 각각 전년 동기 대비 40%, 34% 늘어난 것이다.

모바일인덱스는 이번 보고서에서 주요 금융 앱과 가상화폐 앱 트렌드도 분석했다. 올 5월 ‘토스’가 ‘카카오뱅크’를 제치고 금융 앱 1위에 올라섰다. 5월 토스 MAU는 1,403만 명이었고, 이어 카카오뱅크 1,302만 명, ‘KB 국민은행’ 1,030만 명, ‘신한 쏠 SOL’ 894만 명, ‘NH 스마트뱅킹’ 900만 명 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가상화폐 시장이 주춤하며 관련 앱 신규 설치 수도 대폭 줄었다. 지난 4월 358만 회에서 6월 89만 회로 감소한 것이다.

박현익 기자 beepark@sedaily.com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