車반도체 부족에.. 완성차 5곳, 월 60만대 판매벽 붕괴

장우진 2021. 8. 2. 16:3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내 완성차업계가 반도체 부족 등의 여파로 5개월 만에 월 60만대 판매 벽이 무너졌다.

2일 업계에 따르면 완성차 5곳의 지난달 판매량은 58만9703대로 작년 동월 대비 0.1% 감소했다.

현대차, 기아, 한국GM은 올 상반기 반도체 부족 여파가 6월까지 이어지면서 지난달 판매에도 영향을 끼쳤다.

반면 한국GM은 반도체 부족 여파로 작년보다 48.2% 감소한 1만4329대에 머물렀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자료: 각 사>

[디지털타임스 장우진 기자] 국내 완성차업계가 반도체 부족 등의 여파로 5개월 만에 월 60만대 판매 벽이 무너졌다.

2일 업계에 따르면 완성차 5곳의 지난달 판매량은 58만9703대로 작년 동월 대비 0.1% 감소했다.

올해 월별 판매량은 3월 67만2643대, 4월 63만691대, 5월 60만4709대, 6월 65만7547대였다.

이는 반도체 부족 여파가 지난달까지 이어지면서 내수 판매가 주춤한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달 내수 판매량은 12만3512대로 14.5% 줄어든 반면 해외 판매는 46만6191대로 4.5% 늘었다.

현대차, 기아, 한국GM은 올 상반기 반도체 부족 여파가 6월까지 이어지면서 지난달 판매에도 영향을 끼쳤다.

르노삼성은 지난달 19~20일 반도체 부족으로 부산공장 가동에 차질을 빚기도 했다.

완성차별로는 현대차가 30만9901대로 작년보다 2.4% 감소했고 한국GM이 1만9215대로 44.5% 줄었다. 반면 기아는 24만1399대로 8.7%, 르노삼성은 1만1033대로 23.6%, 쌍용차는 8155대로 8.9% 각각 증가했다.

내수의 경우 기아가 4만8160대로 2.4% 소폭 늘어난 것을 제외하면 4사 모두 두자릿수 감소폭을 보였다. 현대차는 5만9856대로 22.6% 감소했고 한국GM은 4886대로 30.1%, 르노삼성은 4958대로 21.3%, 쌍용차는 5652대로 15.7% 각각 줄었다.

해외 판매는 현대차가 25만45대로 4.2%, 기아가 19만3239대로 10.5% 각가 증가했다. 또 XM3(수출명 르노 뉴 아르카나) 수출이 본격화 된 르노삼성이 6075대로 131.7%, 자구안을 이행 중인 쌍용차가 2503대로 218.0% 각각 급증했다. 반면 한국GM은 반도체 부족 여파로 작년보다 48.2% 감소한 1만4329대에 머물렀다.

업계에서는 올 하반기에도 반도체 부족 여파가 온전히 해소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

서강현 현대차 부사장은 지난달 22일 열린 2분기 실적발표에서 "반도체 수급은 올 3분기부터 나아질 것으로 보지만 일부 제품은 4분기부터 점진적으로 개선될 것"이라며 "여러 대외 리스크에 하반기도 어려운 경영환경이 예상되지만 연간 발주 등 수급 안정화를 통해 생산차질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지난달 차종별 판매량은 현대차 포터로 8804대 가장 많이 팔렸다. 이어 쏘렌토 6339대, K8 6008대, K5 5777대, 카니발 5632대로 2~5위를 기아 모델이 차지했다.

아반떼는 5386대, 그랜저 5247대, 제네시스 G80 5028대, 팰리세이드 4695대, 싼타페가 4452대로 톱10에 포함했다.장우진기자 jwj17@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